군, 기후변화대응 포럼 마련
식량안보 선제적 대응 필요
기후위기에 따른 농작물 피해가 빈번해 지는 가운데 같은 기상조건에서도 작물·환경 등에 따라 피해 여부와 정도가 달라지는 만큼 농장별로 기상위험을 알려주는 경보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제4회 농식품 기후변화대응 포럼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스마트 농업 발전 전략’을 주제로 지난 10일 문내면 울돌소리 호텔에서 열렸다. 이번 포럼은 해남군, (사)한국농식품생명과학협회,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이 주최·주관했다.
이날 기조강연에 나선 심교문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기상연구실장은 ‘기후위기 대응 농장 맞춤형 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심 실장은 “농산물 생산 피해액을 제외한 농업재해 피해액이 2015년 674억원에서 2023년 1조5147억원으로 늘어나는 등 가뭄·한파·폭염·호우·폭설 등 각종 이상기상 반발로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며 “기상재해를 사전에 예측해 대책을 마련하는 위험관리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같은 기상조건에서도 작목, 품종, 발육단계, 환경순응 정도에 따라 기상재해 가능성이 다른 만큼 기상청의 기존 서비스만으로는 국내 농장규모와 지형조건에 적합한 공간해상도를 갖추기 어렵고 작목의 다양성과 가변적 재해내성을 반영할 수 없어 별도의 농업기상서비스가 필요하다”며 “기상기술과 작물생산 기술의 융합을 통해 필지단위 기상위험을 미리 파악, 생육 중인 농작물의 피해 경감방안을 재배농가에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기상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탄소중립시대 농업의 기후위기 대응전략에 대해 주제발표에 나선 남재철 국가농림기상센터 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과거 109년(1912~2020년) 동안 연평균 기온은 10년마다 0.2도씩 꾸준히 상승하고 있고 여름일수는 20일 증가한 반면 겨울일수가 22일 감소하는 등 계절의 실종도 벌어지고 있다”며 “농업은 기후 의존성이 높아 기후변화에 매우 취약하고 기후변화 대응과 식량안보를 위해 국가차원에서 선제적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승헌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은 자연과 생물다양성이 손실을 멈추고 회복돼 자연자본이 증가하는 ‘네이처 포지티브’와 스마트 농업의 발전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이 연구원은 “2025년 약 100억 인구를 먹여 살리려면 식량생산은 56%가 증가해야 하고 농지 면적은 인도의 2배가 증가해야 하며 무엇보다 온실가스가 67% 감축돼야 한다는 보고서가 있다”며 “글로벌 투자사들이 기후테크(기후와 기술의 합성어)에 대규모 자금을 투자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후변화 대응 생산기반 인프라 구축, 스마트 영농의 보편화, 푸드 테크를 통한 대체식품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군은 삼산면 평활리 일원에 오는 2027년 운영을 목표로 조성되고 있는 국립농식품기후변화대응센터를 중심으로 전라남도 지역특화과수지원센터, 해남군 농업연구단지 등 약 100㏊ 규모의 기후변화대응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