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은 사회적기업의 날이다. 사회적기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사회적기업가의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제정된 날이다. 사회적기업은 이윤 창출보다 사회적 문제나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사회 공헌을 바탕으로 지역 내 일자리 창출과 주민 삶의 질을 높이는 기업활동을 이끈다는 점에서 농촌소멸 극복의 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이 계속 사라지고 있다. 2년 전 11곳에서 현재는 7곳으로 4곳이나 줄었다.
윤석열 정부 들어 인건비를 대폭 삭감하며 취약계층에 대한 고용유지나 사업 진행에 어려움을 겪은데다 예비사회적기업도 지정 3년 안에 인증기업으로 전환해야 하지만 복잡하고 까다로운 요건에 별다른 혜택이 없다는 이유로 전환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사회적기업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영역과 별개로 지역의 취약계층에 대한 일자리 창출과 서비스, 돌봄 강화, 지역의 가치를 우선한다는 점에서 지금보다 좀 더 댜앙하고 획기적인 활성화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첫째, 과감한 예산 지원이다. 새 정부 들어서도 인건비에 대한 예산 지원이 아직 반영되지 않고 있다. 군이나 전남도 차원의 지원도 부족하다. 한 개 기업에 지원되는 사업개발비가 청년 창업가에게 지원되는 예산보다 적다는 말까지 나온다. 필요성을 인정하고 특히 군 차원에서 정부만 바라보지 말고 자체 예산을 과감히 투입해야 한다.
둘째, 중간조직의 중복도 문제이다. 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 협동조합, 자활기업까지 합쳐 사회적경제기업을 관리하는 해남군 사회적공동체 지원센터가 설립돼 위탁 운영을 하고 있지만 해남사네라는 민간조직과 겹치고 있다. 관련 규정에 따라 선정 절차를 거친 것이라 하지만 기존에 사회적기업들이 자생적으로 구성한 민간조직에 맡겼더라면 소통이나 전문성 면에서 더 나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든다. 민간영역이 관 영역에 사실상 종속돼 활동이 위축된 상황으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셋째, 사회적기업의 노력도 요구된다. 현재 대부분 농산물 가공 판매나 음식 쪽에만 집중돼 있어 다른 지역과 차별화되고 해남만의 특징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이는 서비스나 품질의 한계를 가져오고 특히 그럴 일은 없겠지만 인건비 지원만 챙기고 이른바 먹튀를 하는 것 아니냐는 일부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런 염려를 불식하기 위해서라도 사회적기업 스스로 해남형 또는 농촌형 사업을 적극 개발하고 다양한 형태의 분야에 도전하는 선도 역할이 필요해 보인다. 사회적기업은 이윤 보다 지역의 가치를 우선한다. 사회적기업이 어려움을 이겨내고 정착할 수 있도록 더 많이 소통하고 그 길에 자치단체, 지역사회가 같이 가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