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계출산율은 한 여성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말한다. 통계청은 시군구에 신고된 여성 나이별(15~49세) 출생아 수를 해당 나이 전체 여성 인구 수(7월 1일 기준)로 나눈 값을 모두 더해 합계출산율을 산출한다.

지난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이 0.78명으로 나왔다. 이게 얼마나 인구절벽으로 가는 길인지 계산해보면 섬뜩하다. 남녀 100명이 결혼한 50쌍의 1세대 부모가 낳은 아이는 39명이다. 61명이 줄어든다. 2세대인 39명은 19쌍이고, 여기서 14명이 태어난다. 3세대인 14명은 또 7쌍이 결혼해 5명의 자녀를 낳는다.

지금 100명이 결혼해 3세대가 흐른 100년이 지나면 그 자손(고손)은 고작 5명으로 쪼그라든다. 그렇다면 그 이후는?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해남은 어떠한가. 지난해 해남의 합계출산율은 1.04명으로, 2017년(2.1명)에 비해 5년 만에 반토막 수준으로 떨어졌다. 다행히 올해 출생아가 늘어나 1명대 붕괴는 잠시 늦춰질 것으로 기대하지만 1명대 이하는 시간문제이다.

해남의 인구 상황을 들여다본다. 올해 10월까지 태어난 아이는 217명으로 지난해 연간 203명보다 14명이 많다. 아직 두 달이 남았으니 40명 정도는 더 태어날 것이다. 그렇더라도 2018년 출생아가 513명이었으니 5년 만에 절반으로 줄어든 셈이다. 반면 고령화 추세는 가파르게 진행된다. 계곡면의 경우 65세 이상이 51.7%에 달하고 북일면, 현산면 등도 절반 수준에 가깝다. 마산면의 한 마을공동체에서 한지공예 참여자를 모집했더니 희망자가 넘쳐나 80세 이하의 '젊은 사람'으로 범위를 좁혀 뽑았다고 한다.

해남 인구는 매년 1300명 정도 줄어든다. 감소 요인은 1000명 남짓한 사망자와 220명 안팎의 출생아 차이에 따른 자연감소에다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대략 500명 많은 데서 찾을 수 있다. 인구 지키기에 나선다지만 어느 하나도 쉽사리 해결될 사안이 아니다.

여기서 자주 등장하는 게 출산율 높이기이다. 요즘 지자체마다 다양한 당근책을 던진다. 쌍둥이를 낳으면 1억 원을 내놓는다든가, 아이 1명에게 7년간 5000만원이 넘는 장려금을 준다고 한다. 근데 출산율 높이기는 일선 시군이 나설 일이 아니다. 온전히 국가책무이다. 시군의 정책이야말로 아랫돌 빼서 윗돌 괴는, 눈 가리고 아웅하는 미봉책이다. 국가적으로 정말 쓸데없는 짓이 아닐 수 없다. 10년 전 해남에서, 최근 광주에서 '아이를 돈 주고 사는' 실험은 실패로 결론 났다. 돈 받고 줄행랑치거나 인근 군 단위 출산율만 떨어뜨렸을 뿐이다. 그런데도 모든 지자체가 아이를 돈 주고 사겠다고 한다. 굳이 주겠다고 하면 출산장려금이라 하지 말고 맡아서 잘 키워달라는 의미로 해야 한다.

기실 출산율 처방은 없다고 봐야 한다. '백약이 무효'가 딱 들어맞는 표현이다. 교육 여건이 좋고 살기 좋은 인프라가 갖춰졌다고 출산율이 올라갈까. 그렇다면 이런 조건을 두루 갖춘 서울의 출산율이 가장 높아야 하는데. 전국에서 꼴찌(0.59명)는 맡아놓은 당상 아닌가.

그래도 처방은 있다. 개천에서도 많은 용이 나오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잘난 자식, 못난 자식 모두가 나라를 떠받칠 동량이다. 누구는 펜을 잡고, 누구는 지게를 짊어져야 구인난, 구직난이 해소되고 나라가 균형을 잡고 성장한다. 모두가 펜만 잡아야겠다고 하니 자식 교육에 박 터지게 매달리게 되고, 그러니 출산율은 바닥없이 추락한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