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빼는 바지 또는 작업복을 말하는 일본어 "もんぺ"에서 유래했습니다.
"여성용 작업 바지"를 말하는 단어라고 생각하시면 맞겠습니다.
몸빼 바지는 일제 강점기시대 1930년대 말 원래 일본 여성의 노동복 바지였던 몸빼의 착용이 일본에 의해 강요되어 여성에게 국민복 처럼 강요되어 입혀졌다고 합니다.
이 몸빼는 1940년 5월 애국반이라는 명칭으로 가정부인이 방공훈련을 받게 되면서 입기 시작한 이래 권장되었고, 바지만을 외의로 착용해본 적이 없던 조선 여성들이 처음에는 수치감에서 잘 입지 않았으나 여성용 작업복이 별도로 제정된 것이 없었던 당시의 상황에서 활동에 편리한 편의성과 당국의 강력한 정책에 의해 몸빼는 점차 확산되었다고 합니다.
2차 세계대전 시에도 방공훈련이 잦아짐에 따라 여성들에게 몸빼의 착용을 강요하였으므로 다른 복장에 우선하여 몸빼는 전시국민복으로 인식될 정도였다고 합니다.
몸빼를 항상 착용하도록 하기위해 「몸빼필착운동」을 전개하며, 몸빼를 착용하지 않으면 관공서나 공공집회장의 출입을 금지시켰으며 전차나 버스의 승차도 금지하였다고 합니다. 여유분량이 많고 풍덩하여 인체의 선을 드러내지 않는 몸빼는 별도의 작업복이 없던 상황에서 효율적임을 수긍하여 바지대용으로 착용되었고 잔존하여 오늘날에도 시정 여인들에게서 몸빼착용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여성이 처음으로 바지를 입기 시작하게 된 계기가 된거죠..
작성일:2008-05-03 13:2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