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의 합계출산율이 가파르게 떨어지고 있다. 급전직하라는 표현이 더 어울릴 정도의 무서운 속도로 내리막을 걷고 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한 명이 15~49세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이다. 지난해 해남의 합계출산율은 1.04명으로 1명대에 턱걸이했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에는 0명대로 추락할 위기에 놓였다.

해남의 합계출산율은 5년 전 2017년까지만 해도 2명 이상으로 전국에서 줄곧 1위를 달렸다. 그러다 2018년 1명대로 떨어진 후 해를 거듭할수록 하락세가 가팔라지고 있다.

2020년 1.67명에서 2021년 0.31명 하락한 1.36명에 이어 지난해에는 또다시 0.32명이 낮아진 것이다. 이젠 전국 상위권은 고사하고 전남에서도 이웃 군인 완도(1.13명), 진도(1.10명)보다 낮고 순위도 중간 단계인 8위로 추락했다.

신생아 수를 보면 심각성이 더 다가온다.

지난해 해남에서 태어난 아이는 203명에 불과했다. 이 가운데 절반이 넘는 116명이 해남읍에 몰렸으며 대부분 면에서 1년 내내 출생아 수가 한 자릿수에 그쳤다. 북일면에서 태어난 아이는 한 명도 없었고, 마산면 2명, 옥천면·현산면은 3명이었다. 면 전체가 이런 지경인데 우리 마을에서 아이 울음소리 듣는 것 자체가 기적이랄 수 있다.

이런 출산율 추락을 어떻게 막아볼 수 없다는 게 더 답답하다. 출산장려금 몇 푼 더 준다고 출산율을 높일 수 있을까. 이런 미봉책은 이미 해남에서 소용이 없다는 사실이 증명됐다. 사실 아동수당이나 양육비, 출산휴가 등 고만고만한 지원책을 펼친다고 젊은 부부들이 아이를 더 낳겠는가.

백약이 무효라고 손을 놓고만 있을 수도 없는 노릇이다. 작년 한 해 동안 해남의 인구가 1400명 이상 줄어들었으니 2년에 작은 면 단위 하나씩 사라지는 셈이다. 이대로 가다가는 언젠가는 해남 자체가 없어진다고 말을 해도 하등 이상할 게 없는 상황이다.

앵무새처럼 하는 말이지만 인구를 최소한 유지해 해남이 소멸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결국 좋은 직장을 만들고 좋은 교육시설, 좋은 의료시설을 갖춰야 한다. 고령화되는 농촌의 복지향상도 좋지만 아이들을 위한 다양한 투자도 획기적으로 늘려야 한다.

해남의 합계출산율이 다른 지자체보다 왜 더 가파르게 떨어지고 있는지 세밀한 진단을 해야 한다. 이를 토대로 해남에 맞는 맞춤형 처방책을 찾아보자.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