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LS)가 전면 시행된지 5개월째 접어들고 있다.

PLS제도가 정착되면 농약 오남용을 막고, 농산품 안정성과 신뢰도가 높아지고 정체불명의 불안한 수입농산물에 대해 확실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행 130여일을 넘긴 농촌현장은 여전히 혼란과 불안이 교차하고 있다. 제도의 필요성이나 당위성은 인정하지만 영농현실은 그것을 뒤따라 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PLS제도의 연착륙을 통해 부적합 농산물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자체가 지역 맞춤형 농민교육을 확대해야 한다.

재배작물을 방제할 때 정해진 농약만을 사용해야 하는 제도를 관행 농법에 익숙한 고령, 영세농 중심의 농촌 마을에 어떻게 제도를 인식시키고 규정을 지켜나가도록 할 것인가를 농민의 입장에서 검토해 보아야 한다.

둘째, 여러 작물을 돌려짓는 경우 작목에 맞지 않는 상이한 농약검출 문제나 연작의 경우 토양에 누적된 잔류농약 문제에 대한 대처방안이나 최근 농업기술 발전으로 무인헬기나 드론을 이용한 방제가 시행되고 있으나 농약비산 문제 등은 기술적으로 대처해 나가야할 문제이다.

셋째, 기후변화에 따른 병해충과 최근에 창궐하고 있는 외래병해충에 대한 대처방안도 농업기술센터를 중심으로 연구해나가야 할 과제이다.

해남군은 대표적인 농군인 만큼 시대와 변화흐름을 빨리 적응하여 대책을 세우고 문제점을 보완해 나가는 것이 지역경쟁력을 높여나가는 첩경이다.

어렵고 힘든 일이지만 이 제도의 안착을 통해 해남 농산물의 안정성을 인정받아 부가가치를 더 높여 나갈 수 있도록 철저하게 대비하여 제도를 적극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한 때이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