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의 오랜 식민지배에서 벗어나 새로운 국가에 대한 열망과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세력 사이에서 발생한 4·3사건은 현대사의 지울 수 없는 가슴 아픈 비극이다.

4·3사건은 옛날부터 전라남도 해남을 포함한 서남부지역과 인적 물적 교류가 빈번했지만 고립된 섬지역인 제주도 지역에서 1947년 3월 1일 '3·1절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 무장봉기가 사건발생의 단초가 되었다. 사건 본질은 당시 군경이 계엄령을 선포하면서 규정한 '빨갱이가 일으킨 무장폭동'이 아닌 경찰을 비롯한 서북청년회의 탄압에 대한 저항과 남한의 단독선거·단독정부 반대를 기치로 내걸고 제주도민들이 참여한 사건이었다.

한국전쟁 기간을 거쳐 1954년 9월까지 무장대와 토벌대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주민들이 희생당했다. 당시 28만 제주도민 가운데 3만여 명이 아무런 이유를 모른 채 죽어갔고 수많은 물적 피해가 발생했음에도 반세기 가까이 4·3사건은 거론하는 것조차 금기시 되었고 희생자 유족들은 고통과 질곡 속에서 한 많은 세월을 보내야 했다. 이전 민주 정부하에서 4·3 사건 진상규명과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한 위원회 활동이 있었고, 고 노무현 대통령은 국정 책임자로는 최초로 공식 사과한 적이 있지만, 진상규명이 제대로 되지 못한 채 다시 과거로 회귀했다.

올해로 제주4·3 사건이 70주년을 맞는다. 진상규명과 함께 4·3 사건에 덧씌워진 불온한 장막을 걷어내고 기억하고 위령해야 한다.

분열과 증오, 미움과 갈등으로 얼룩진 우리 사회에서 역사적 진실이 분명히 밝혀져야 증오와 갈등을 치유하고 진정한 용서와 화해가 이루어 질수 있다.

4·3의 치유가 있어야 통일의 길도 열린다. 진실의 문을 열고 평화와 상생으로 나아가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