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째 연속 군수가 구속되고 자리보존만 생각하며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는 공직사회를 바라보며 지역민들의 실망감과 허탈감은 지역사회 전체의 침체로 이어졌다.

말해도 바꿔지는 것이 없으니 아예 속 편하게 침묵하는 경향이 있었고 지역 현안보다는 전국적인 현안에 목소리를 높이며 시민단체와 시민운동이 사라졌다는 얘기도 나왔다.

그런데 최근들어 변화의 물결이 서서히 일고 있다. 지역사회가 나서서 이슈를 선점하고 지역 현안을 논의하며 대안을 마련하고 있고 견제와 감시기능도 다시 가동하고 있다.

일부에서 자행되고 있는 청소년들에 대한 노동력 착취와 인권침해를 막기 위해 해남 실정에 맞는 청소년노동인권 조례를 만들자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고 지난 두차례의 토론회에 이어 앞으로 공청회를 거쳐 조례 제정이 본격화하고 있다.

해남에도 결혼이주여성이 600여명에 달하고 있고 유치원과 학교에 다니고 있는 다문화 학생이 530여명에 이르고 있는 상황에서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 전환과 이들에 대한 복지 확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그 일환의 하나로 친정집 보내주기와 사랑의 편지쓰기 등 베트남 껀터와의 교류사업도 활기를 띠고 있다.

청소년 먹거리나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토론회도 곳곳에서 열리고 있다. 어느 한 기관이나 어느 한 사람이 추진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가 함께 동참하고 공론화를 통해 방향을 제시하며 더 나은 사업과 정책을 만들어 내고 있다.

최근에는 한 시민단체에서 해남군의 인사비리와 공사비리에 대한 국민감사를 청구했는데 400여명에 가까운 지역민들이 서명을 했다.

일부에서는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산적해있는 지역현안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단체들이 뭉쳐 후보자들에 대한 검증기능을 강화하고 필요한 부분에 있어서는 공약화를 요구하겠다는 움직임도 일고 있다.

지역사회의 정치 참여와 함께 행정기관 전반에 대한 감시와 견제 기능도 다시 살아날 기미를 보이고 있다. 작은 날개짓이고 작은 움직임처럼 보이지만 앞으로 큰 변화를 가져올 나비효과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동안 지방분권의 핵심인 거버넌스, 즉 협치가 논의돼 왔다. 일방적인 행정이나 행정에 대한 무관심에서 벗어나 지역사회 전체가 힘을 합쳐 현안에 대해 공론화와 공감대를 형성하고 사업이나 정책을 결정하는 것이다.

해남에서의 작은 움직임들이 앞으로 지역사회의 변화와 혁신을 넘어 거버넌스로 이어질지 주목되고 있다. 지역사회가 다시 자존감을 회복하고 참여하며 움직여야 할 때이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