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소심에서도 유죄선고가 나왔음에도 박철환군수가 지난14일 상고장을 접수하여 대법원에서 법리다툼이 이어지게 되었다.

박군수가 자신의 결백과 억울함을 주장하면서 상고를 하는 것은 개인의 선택이고 권리이기는 하지만, 이번 사태로 인한 군정의 혼란과 공직사회의 사기저하, 군민들의 실망과 한탄과 자조에 대해서 지금까지 공식적으로 사과를 한 적이 없다.

군정이 비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지역사회의 갈등과 분열이 장기화되고 있음에도 나 몰라라 하는 것은 공직자로서 책임있는 자세가 아니다.

지역여론은 9개월여에 이르는 군정공백과 자칫하면 내년 지방선거시 까지 군정공백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군수의 자진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대다수의 군민여론이 사퇴를 요구하고 있음에도 군의원 3명만이 참여해 입장을 발표했고 대부분의 군의원이 침묵하고 하고 있는 점은 실망스럽기 그지 없다.

일부에서는 군의원들이 군정과 군민의 입장에 서기보다는 보궐선거의 시행여부와 시기 등 제반조건의 유불리를 당리당략적인 측면에서 계산하고 접근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박군수의 책임적 자세와 결자해지를 다시 한번 촉구 하면서 군의원들 역시 초심으로 돌아가 지역주민의 목소리에 귀기울여야 한다.

선거 당시 유권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경청하겠다는 약속은 지역주민의 요구와 바램을 한귀로 듣고 한귀로 흘리는 것이 아닌 행동으로 나서는 것이다.

'짧은 호황과 긴불황'이 일상화되고 농수산업이 위기에 처해있는 경제 상황에서 군정목표처럼 군민행복시대를 열어가기 위해서는 의회의 군정견제와 대안제시가 중요하다.

군의원의 직무는 당리당략이나 지연혈연에 충실하는 것이 아닌 지역구 주민과 군민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일이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