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지역은 도시에서의 생활을 접고 시골로 향하는 귀농귀촌인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귀농귀촌인은 지역의 인구증가와 더불어 새로운 활력과 바람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지자체가 앞 다투어 귀농귀촌인을 유치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5년 귀농인 수는 1만2114명으로 이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50~59세가 4875명으로 전체의 약 40%를 차지했다. 60~69세로 2954명, 40~49세가 2428명, 39세 이하는 1168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청년층의 유입보다는 도시에서의 생활을 마무리하고 시골로 내려오는 중장년층이 더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베이비부머 세대의 퇴직이 본격화되고 있는 요즘 이 같은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농어업에 종사하는 인구의 평균연령은 높아지고 있어 이를 낮출 수 있는 것도 귀농귀촌인이다. 귀농귀촌인이 농어업인 고령화의 대안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어둔 정책을 펼쳐야한다. 이와 함께 귀농귀촌인이 지역에 성공적인 정착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도 중요하다.

청년층이 시골생활을 꺼려하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 자녀교육, 주거문제, 의료, 문화 등이 도시에 비해 낙후됐다는 걱정이 청년층이 귀농을 주저하는 이유라고 생각된다. 이와 함께 안정적인 수입을 얻을 수 있는 생산기반마련도 큰 걱정일 것이다. 중장년층과 비교해 귀농자금을 마련하기가 상대적으로 힘든 청년층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이 있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농산물의 가격하락으로 농가소득이 도시 근로자보다 떨어지는 상황이 이어져 전반적인 유입정책의 다변화가 이뤄져야 한다.

다만 부분별한 지원보다는 귀농귀촌인이 지원을 통해 지역에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실패확률을 줄일 수 있도록 철저한 관리와 책임감, 의무 등을 귀농귀촌인에게 부담토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이외에도 지역민과 귀농귀촌인의 소통이 큰 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마을단위의 공동체 생활을 하는 시골에 비해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도시에서 살다온 귀농귀촌인들과의 괴리를 줄일 수 있도록 도와야한다. 귀농귀촌인은 지원사업만 받아가고 약았다는 인식을 가진 지역민과 지역에 녹아들지 못하고 겉도는 귀농귀촌인을 하나로 만들 수 있는 방안이나 교육 등을 찾아야 한다. 귀농귀촌인이 지역에 적응하지 못하고 다시 도시로 가는 경우도 있어 이러한 상황을 사전에 예방해야 한다.

이 모든 것을 지자체에서 해주기만을 바라는 것은 무리다. 우리 스스로 지역의 귀농귀촌인프라 구축과 서로에게 마음을 열고 다가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귀농귀촌이 지역의 인구증가와 함께 지역을 지탱하는 하나의 기둥이 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