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금수 국가공인실천예절지도사회 전라남도회장

지구상에서 숨 쉬고 사는 생명체는 인간이든 짐승이든 우선 먹어야 살아가기 때문에 당장 필요한 것을 들라하면 누구나 밥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물이 더 우선으로 본다. 그 이유로는 밥은 수십일 굶어도 살 수 있으나 물은 하루만 안 먹어도 사경을 헤매기 때문이다.

지구의 70%가 물이고 인체의 70% 이상이 물임을 감안하면 물이 얼마나 소중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소중한 물이 일상생활에서 부족함을 느끼고 산다면 얼마나 불편할지는 불문가지다.

옛날 우리 조상들은 산 좋고 물 맑은 이 땅에서 사는데 물 부족현상을 느끼고 살지 않았기 때문에 ‘물 쓰듯 하다’는 속담이 생겨났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다르다. 우선 인구가 늘어났고 물질문명이 발달하여 물 씀씀이가 옛날과 많이 다르다. 

또 지구의 온난화로 한발이 잦은데다 폭우와 폭설로 시설물이 파괴되는가하면, 비도 우기 때만 집중적으로 내려 물 기근을 부추기고 있어 특별한 대책이 없는 한 물 부족 현상은 더 두드러질 것이다.

이런 현상은 우리나라만 겪는 게 아니고 전 세계가 마찬가지여서 전 인류가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야 할 것이기 때문에 UN은 1992년 제47차 UN총회에서 물의 날(World Water Day)을 선포함에 이르게 됐다. 우리나라도 물의 중요함을 알고 1990년 7월 1일을 물의 날로 정한바 있었으나 5년 후인 1995년부터 UN이 정한 3월 22일 물의 날 행사에 동참한 것이다. 

노자의 도덕경에 나오는 상선약수(上善若水)는 사회에 널리 알려진 용어인데 직역하면 ‘물은 최고의 선’이라는 뜻이다. 만물의 어머니라 불리는 물은 세상의 이치를 거스르지 않고 순리대로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다가 바위를 만나면 돌아가고 웅덩이를 만나면 여유롭게 웅덩이를 다 채우고 다시 흘러 최종엔 시궁창에 다 달아도 불평 없이 머물러 예쁜 연꽃을 피우게 한다.   

물 부족 상태는 세계 각국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고충이다. 그래도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나은 편에 속한다. 우리가 국민운동으로 물을 아껴 쓰는데 동참한다면 걱정할 일이 아닌데 물을 분별없이 마구 쓰는 층이 너무 많다. 필자는 전직이 물을 관리하는 농어촌공사에서 근무했기에 물에 대한 관심이 크고 아껴 쓰는데 앞장서 왔다.

공중목욕탕에 가보면 금방 알 수 있다. 머리감는데, 양치질 하는데, 면도하는데 수도꼭지를 틀어놓고 하는 젊은이가 의외로 많다. 이 시대사에서 일부 젊은이들은 물질의 풍요 속에 편하게만 살아왔기에 아껴 쓸 줄 모르는 습관이 자신도 모르게 몸에 밴 탓이다. 자라는 어린이들의 물 씀씀이도 다를 바 없이 매 한 가지다.   

물은 돈을 주고도 살수가 없다는데 문제가 있다. 그래서 앞을 내다보는 학자들은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물 전쟁이 일어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이렇게 상태가 심각한데도 손을 놓고 강 건너 불 보듯 뒷짐만 지고 있을 것인가.

재차 말 하지만 온 국민이 관심을 갖고 물을 아껴 쓰는데 적극 동참한다면 걱정할 일이 아니라고 필자는 확신한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