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종료아동이라는 단어가 신문방송에 자주 오르내린 것이 기껏해야 몇 년 전의 일이다. 보호종료 기간이 만 18세에서 만 24세까지 연장되면서 지금은 많은 자치단체가 이들을 자립준비청년이라 부르고 있고 언론에서도 이렇게 부르곤 한다.

해남에도 아동보호시설 등에서 보호를 받다가 보호가 종료돼 홀로서기를 하고 있는 자립준비청년이 해남등대원에만 최근 6년 동안 19명에 달했다. 공동생활가정이나 가정위탁까지 합치면 그 수가 수십 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어떻게 생활하고 있는지 실태조사가 한 번도 공개되지 않았지만 해남등대원의 도움을 받아 퇴소 후 이들의 현주소는 어떤지 살펴봤다. 취업이나 결혼을 통해 사회에 잘 적응하고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청년들이 절반인 반면 나머지 절반은 연락두절이거나 일정한 직업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동안 안타까운 사건들이 줄지어 발생하며 관련법이 개정되고 대책이 쏟아지기도 했지만 부족한 게 현실이다. 이들이 퇴소할 때 지원되는 것은 정부와 해남군에서 자립정착금 1인당 1000만원과 퇴소 후 5년까지 자립수당 월 40만원, LH주거지원 혜택 등이다. 막 성인이 되거나 20대 초반의 이들이 의식주를 해결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제대로 준비돼 있지 않고 보호시설의 울타리마저 사라진 상황에서 한 번의 실패는 좌절이 됐고, 쉽게 돈을 벌 수 있다는 수많은 유혹은 이들을 더 어렵게 하기도 했다.

일정 기간이 되면 무조건 퇴소시키기보다 퇴소 전에 이들이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다양한 지원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그래서 나오고 있다. 사회적인 관심도 더 요구되고 있다. 해남은 농촌이지만 다른 도시와 마찬가지로 은둔형 외톨이도 존재하고 자립준비청년도 있다. 이들에 대한 실태조사와 사례관리는 물론 군 차원의 지원은 적정한지, 관련 시설 종사자들의 어려움은 무엇인지, 사회단체 차원에서 연계 대책은 없는지 고민하고 각계의 후원도 필요하다.

어르신이나 귀농귀촌 청년 등 다양한 계층에 대한 복지와 관심도 필요하지만 자립준비청년들에 대한 고민과 지원도 더 늘어나야 한다. 이들 청년도 해남 청년이고, 해남의 미래이기 때문이다. 지역사회 안에도 쉬쉬하고 가려져 있는 많은 청년들이 올 한 해 함께 사는 세상 속에 희망이라는 단어를 더 많이 품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