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농사철을 앞두고 농촌마을입구마다 비료와 퇴비를 나르느라 농민들의 손놀림이 분주하다. 밑거름을 주거나 토양을 개량하기 위해 시비를 해야 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토처럼 구제역을 막기 위해 퇴비와 유기질비료도 공급업체를 전남지역으로 제한, 제때 공급되지 못해 농민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수요가 증가하면서 원재료를 다른 지역에서 해결했던 퇴비제조업체가 원활한 공급을 하지 못해 적기에 살포해야하는 일부 농민들이 자구책마련에 나섰다는 것이다. 심지어 시비시기를 놓치지 않기 위해 보조금을 포기하고 타지역에서 값비싼 비료를 구입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전남도 이외 지역에서 생산된 퇴비와 유기질 비료를 사용할 경우 군은 비료가격의 80%한도내에서 지급하는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고 있다.

비록 경보단계가 하향 조정됐다 하더라도 지역제한을 전국으로 다시 푸는데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 사이 농사철은 코앞으로 다가왔다. 인근 지자체가 지역제한을 다시 풀고 있는 만큼 군도 예의 주시해 농민들의 영농에 차질이 없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최근 일반화학비료와 맞춤형비료 공급을 두고도 농민들과 비료공급업체간의 실랑이도 있다한다. 맞춤형비료는 토양검정 결과와 양분수지를 감안하여 설계된 화학비료로 관행비료보다 성분함량이 낮고 토양에 부족한 미량성분을 보강할 수 있다고 농협측은 밝히고 있다. 그러나 특히 젊은 영농인들이 맞춤형비료가 효과가 낮다고 여기고 그 사용을 꺼리고 있다는 것이다. 맞춤형비료는 수급이 원활하지만 일반화학비료는 수급에 이상징후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맞춤형비료의 장점을 충분히 설명하고 영농에 차질없도록 대책을 마련하는 것도 농사당국의 몫일 것이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