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학교, 건축비·운영비 지원으로 승부수
관련 특별법 특례 마련 건의 지역인재 할당 등 구체화 필요
AI 데이터센터와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유치가 잇따르면서 해남군이 국제학교 건립에 속도를 내고 있다.
투자가 실제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교육 등 정주환경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건립비용과 지역인재 할당은 물론 지역사회의 공감대 확보 등은 여전히 숙제로 남고 있다.
해남군은 솔라시도 기업도시에 국제학교 유치가 보다 구체화할 수 있도록 건축비 전액은 물론 운영비를 국비로 지원하고 내국인 입학비율을 지금의 30%에서 50%로 상향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정부와 국회에 요청하고 있다. 최근 김원이 국회의원이 대표 발의한 재생에너지자립도시 조성 특별법 특례에 이 같은 내용이 포함돼 통과될 수 있도록 건의에 나서는 것이다.
해남군과 전라남도, BS그룹은 올해 미국의 레드랜드 크리스천 스쿨(RCS) 측과 국제학교 유치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이르면 2028년말 개교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학생 정원과 건립비용 분담률, 지역인재할당율 등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합의하지 못하고 있다.
건립비용의 경우 기업도시(BS그룹) 측에서 부지를 무상 제공하더라도 대구국제학교처럼 정원을 700여 명으로 할 때 455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당초에는 미국 법인 측과 해남군, 전라남도 등 3자가 건립비용을 부담하는 방안이 검토됐지만 미국 법인과의 협상에서 보다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고 재정 여건이 열악한 해남군도 막대한 비용 부담을 덜기 위해 국비지원 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또 국제학교의 경우 기숙사건립이 포함돼 있지 않아 주거단지 확보도 중요한데 건립비 등이 해결되면 사업추진이 급물살을 타는 것은 물론 기업도시 측에서 계획하고 있는 솔라시도 주거단지도 보다 구체화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건립 비용과 함께 지역인재 할당과 지역사회 공감대 확보는 풀어야 할 숙제이다. 국제학교는 가장 싼 학비가 1년에 2000만원 수준으로 귀족학교라 불리고 있다. 투자유치나 솔라시도 활성화도 중요하지만 특정 계층을 위한 특혜로 비춰질 경우 군민들의 위화감이나 소외감이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학생 정원에 해남지역 학생을 일정 부분 포함시키고 해남 학생 등에 대한 장학금 혜택 등도 구체화 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대목이다.
해남군은 이와 관련해 전라남도와 공동으로 2억원을 들여 외국교육기관 설립 타당성 및 기본계획수립을 위한 용역에 들어갔다. 용역에는 건축비 분담률과 운영방안, 지역 효과 등이 담길 예정인데 내년 6월 결과물이 나오면 이를 바탕으로 미국 법인 측과 본격적인 협상에 나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