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방선거 ‘권리당원’ 힘 세지나

민주당 비례대표도 당원 투표 검토 컷오프 최소화·부적격자 원천 차단 선거구 획정은 오리무중 변수 작용 

2025-11-03     이창섭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지방선거에서 비례후보도 당원투표로 뽑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하는 등 공천 과정에서 권리당원의 참여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보여 출마 예정자들의 셈법이 복잡해지고 있다.

민주당은 최근 당 지방선거기획단 회의를 열고 시도당 상무위원회나 지역위원회가 결정하던 비례대표 선출 방식을 권리당원 투표 방식으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해남·완도·진도 지역위원회의 경우 그동안 150여 명의 상무위원이 회의를 열고 지역마다 비례대표를 선출해왔는데 사실상 지역위원장 입김에 의해 선출자가 결정돼왔다. 방식이 바뀔 경우 지역위원장의 입김이 줄어들기 때문에 비례후보 신청자가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특히 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컷오프(공천 배제)를 최소화하고 당원 참여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히면서 구체적인 방안도 물밑에서 거론되고 있다.  

단체장 후보 선출과 관련해 권리당원 참여 비율을 지금의 50%보다 상향 조정한다는 얘기가 나오는 가운데 후보가 많으면 A·B조로 나눠 권리당원 투표로만 1차 경선을 치르고, 각 조 1등을 대상으로 본경선을 치르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컷오프 최소화에 따라 후보 자격 기준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기획단은 아동 범죄나 상습 음주운전, 입·탈당 반복 정치인, 부동산 투기자 등을 공천부적격자로 정하고 아예 공천 서류 자체를 받지 않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기획단은 다음달까지 논의를 거쳐 후보자 추천 방법, 공천 심사 기준 등을 1차로 마련한다는 계획인데 여성, 청년, 대선 승리 공로자 등에 대한 가점과 3선 단체장의 경우 하위 20% 감점 규정 등이 어떻게 정리될지도 관건이다. 

이와 함께 선거 때마다 선거구 획정이 논의되고 있지만 내년 선거에서 현재 선거구가 그대로 유지될지, 변화가 있을지도 변수이다. 인구 편차에 따라 지난 8회 선거 때도 해남에서 군의원 의석수를 11명에서 10명으로 줄이되 비례대표 의석에서 1석을 줄이는 방안이 제시됐다가 최종적으로 지금의 군의원 정수 11명이 유지돼 선거가 치러졌다. 전남도의회에서 선거구 획정이 논의될 예정인 가운데 어떻게 결론이 내려질지 주목된다.

한편 각 당 비례대표 후보와 관련해 여성이 1순위인 가운데 민주당에서는 일부 거론됐던 인사들이 후보 신청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하거나 선출직 출마로 선회하며 현재 김미경 지역위원회 민원국장이 거론되고 있다. 조국혁신당과 진보당은 아직 구체적으로 이름이 거론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물밑작업이 시작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