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탑·변전소에 몸살 앓는 해남

2025-10-20     해남신문

변전소와 송전선로 건설로 해남이 몸살을 앓게 됐다.

탄소중립을 위해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소가 늘어나면서 여기서 생산된 전기를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한 송전선로, 에너지 고속도로 건설이 예정돼 있는 것이다. 

현재 건설돼 있는 변전소와 송전선로가 과부화됨에 따라 신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계통 연결도 중단된 상태다 보니 이를 해소하는 한편 융통 선로 확보로 대규모 정전을 예방하는 목적도 있다.

한국전력은 황산면에 변전소를 신규로 건설하고 신강진변전소까지 전기를 보낼 34만5000볼트 규모의 송전선로 건설을 추진 중이다. 해남읍과 황산, 마산, 계곡, 옥천 등 해남지역 5개 읍면과 35개 법정리를 통과하게 된다.

진도 맹골도 해역에서 추진 중인 해상풍력발전사업으로도 송지면 육상변전소를 비롯해 북평, 화산, 삼산, 옥천, 계곡을 거쳐 신강진변전소까지 55㎞에 걸쳐 134기의 철탑이 들어설 예정이다. 신안 해역에서 추진 중인 대규모 해상풍력단지에서 생산된 전기를 육지부로 전달하기 위해 문내면에 345㎸ 변전소를 비롯해 문내면 무고리부터 화원, 산이, 마산, 계곡 등을 지나 강진 성전면 월하리까지 147개의 철탑을 신설한다는 계획도 있다.

전기는 일상에서 다양한 생활필수 기능을 담당하는 핵심 에너지다. 전기를 공급하려면 송전선로 건설이 불가피해 포화상태에 있는 관련 시설을 확충하는 것은 필수불가결함도 분명하다.

하지만 전력 생산의 대부분은 비수도권에서 이뤄지고 이 전기를 전력 소비가 집중된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해 새로 들어서게 될 철탑은 지역이기주의를 떠나 전혀 달갑지 않다. 신재생에너지 수익은 외부 자본이 가져가면서 해남은 수백개의 철탑과 변전소 건립에 따른 피해만 보게 돼 지역내 반발이 클 수밖에 없다.

때문에 전기 생산지와 소비지를 일치시켜 송전선로 건설을 최소화해야 한다. 수도권 규제를 풀며 에너지 수요를 계속해 늘려갈 것이 아니라 지역에서 생산된 전기는 지역에서 쓰도록 지산지소(地産地消)형 전력 생태계로 판을 새롭게 짜자. 

허울뿐인 국가균형발전 계획은 더 이상 안된다. 신규 기업은 물론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수도권 기업들을 에너지가 생산되는 지역으로 보내야 한다. 발전소와 송전선로가 몰려 있는 지역은 전기요금을 낮추고 전력 사용량이 많은 수도권은 요금을 올리는 차등 전기요금제도 마련돼야 한다.

그동안 국가 정책에 따른 피해는 지역만 보고 이에 따른 과실은 수도권이 챙겨왔다. 전기든 사람이든 수도권에 집중되는 것을 막아야 소멸 위기에 놓인 지역을 살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