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이후 다사다난했던 국회의원 도지사 선출 등 두 번의 선거가 끝났다. 두 번의 선거결과 정치에 대한 해남지역의 예민한 정서를 반영하고 해남군민들이 무엇을 바라는가 하는 여망과 분명 연관이 없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책무를 맡은 관계로 두 번의 선거 개표에 모두 참관 검표하고 개표초기부터 끝날 때까지 시간대별로 집계상황을 점검하면서 적어도 우리 해남군민이 가지고 있는 사고와 의식을 어렴풋이 느낄 수 있었다. 분명한 것은 예전의 유신정권이나 군부정권과는 아주 다르게 기성세대와 청장년층 모두가 동일하게 보수를 지켜가면서 개혁을 원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에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두 번의 선거에서 확연히 느꼈듯이 언론과 지역신문의 중요성을 새삼스럽게 다시 깨달았다. 물론 언론이라는 정치부분만 아니라 사회전반에 관하여 여러 가지 영향을 나타내겠지만 그래도 선거라는 큰일을 치를 때는 더욱 더 역할이 커 보이는 것 같다. 최근 지역신문의 활성화와 투명성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보였는데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안’이 통과되었다. 이 법은 지역신문을 살리기 위한 언론노조와 기자협회 지방분권국민운동 전국민언련 학계 등 관련 단체의 각고의 노력 끝에 탄생했다.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안 국회 통과일지를 보면 2003년 6월 지역언론개혁연대 창립 이후 같은 해 11월 지역신문지원에 관한 법률안이 발의되고 2004년 2월 제10차 본회의 중단으로 처리 연기되다가 급기야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안이 2004년 3월2일 만장일치로 제11차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우리나라 신문시장은 서울 소재 거대 족벌신문들의 무차별적인 지역공략과 이에따른 지역신문의 독자수 감소로 거대신문의 독과점 강화와 지역신문 몰락 위기라는 심각한 구조적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히 IMF 이후 지방경제의 몰락과 광고시장의 거대신문 독점력 강화는 이런 신문시장의 모순을 더욱 고착화시켜왔으며 지방은 언론이 말살되어 없어지는 정보의 불모지로 전락하고 있다. 지방언론의 실패는 단순한 지방언론사만의 실패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중앙집중적 사회구조를 더욱 고착화시켜 국가균형발전을 저해하게 돼 결국 민주주의의 실패로 귀착될 수밖에 없다. 이런 점을 인식한 국회가 지역신문을 살려야 하겠다는 뜻을 모아 법 제정을 이룩한 것은 분명 우리나라 언론 역사에 일대 긍적적인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라 믿는다. 현재 우리 해남지역의 지역신문의 활약상은 그래도 어는 지역 못지 않게 열악한 재정과 사무실여건 하에서도 훌륭히 그 책임을 수행해 내고 있다. 지난 총선 때 다양한 인사의 패널을 통한 토론회나 사실적이고 정확한 진실한 보도를 통한 지역 군민들의 판단력을 정확하게 정립할 수 있는 정보제공 등 선거에 표심 향방에 어떠한 형태로든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본다. 즉 그 나름대로 역할을 톡톡히 수행해 내고 있는 것이다. 예전 백혈병 투병중인 아영양돕기, 교통사고 당해 엄청난 치료비가 요구되는 혜미돕기, 희귀성 질환을 앓고 있는 준영이 돕기, 해남의 지리적 특성상 무궁무진한 바다 자원을 일구는 어업과 신토불이에 의지하고 있는 우리 농어민의 입장을 대변하는 농사칼럼 해남 특산물 브랜드 홍보, 해남 군정의 분석을 통한 군민들에 대한 군정 정보제공 등 꼭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지역을 대변하고 있는 지역신문이 결코 경제원리에 의해 폭력을 휘두르고 있는 거대기업의 신문에 의해 소멸되게 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지역신문의 거듭남은 지역신문 혼작만의 힘으로는 불가능하다. 우리 지역민들이 우리지역신문에 대해 관심을 좀더 가짐으로 해서 그 신문들이 지역에서 건전하게 자리잡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질책과 애정을 갖고 대해야 할 것이다. 건강한 지역신문의 시대를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