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가 시작되자마자 고향사랑기부제가 힘찬 출발을 알렸다. 현산 출신인 박광온 국회의원이 '해남 1호'에 이름을 올린 데 이어 화산 출신인 재광 향우 김보수 남경에스텍 대표가 기부한도액을 기탁했다. 5일 오전 현재 해남에는 43명이 기부행렬에 동참해 1000만원을 넘어섰다. 이제 막 출발선을 떠났지만 예상보다 많은 사람이 참여하면서 고무적으로 다가온다.

고향사랑기부제는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소멸위기에 놓인 농촌을 발전시킬 수 있는 마중물로 기대를 모은다. 기부금은 취약계층을 지원하거나 청소년 육성, 문화·예술·보건 등 주민 복리 증진에 쓰인다. 고향사랑기부제가 안착하면 가뜩이나 빈곤한 지자체의 재정에 단비가 될 것이다.

고향사랑기부제는 비단 지방재정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출향인들의 애향심을 높이는 계기가 된다. 이런 '두 마리 토끼를 잡는'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지자체와 지역주민들의 꾸준한 관심이 필요하다.

먼저 제도를 도입한 일본의 경우 정착 단계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렸다는 점을 감안하면 첫술에 배부를 수 없고 또한 배불러서도 안 된다. 모금 활성화의 성공은 지속성에 달렸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고액 기부도 좋지만 이보다는 소액 기부가 많아야 한다.

해남의 초기 기부액을 보면 대부분이 10만 원이다. 물론 10만 원을 기부하면 전액을 세액공제 받고, 답례품으로 30%인 3만 원어치를 받아 13만 원을 되돌려 받는 실익이 바탕에 깔렸을 것이다. 이렇더라도 소액 기부 문화가 정착되면 작은 나눔 운동의 기폭제로 이어질 수 있다.

행정안전부는 과열 경쟁을 막기 위해 기부자 명단과 기부액 공개를 자제해달라는 입장을 시·도를 통해 기초지자체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한켠에는 생색내기나 비자발적인 기부를 우려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기부는 어디까지나 자발적이어야 안착으로 이어진다. 강제성을 띤다면 그 열기는 얼마 가지 않아 식어버릴 것이다. 고향사랑기부제는 한두 해 하고 그치는 것이 아니다. 시나브로 정착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해남은 여느 지자체보다 고향사랑기부제 시행에 대한 기대가 높다. 우선 출향인들의 애향심이 남다를 뿐 아니라 출향인 수도 해남 인구의 6배가 넘는 45만 명 정도로 추산된다. 이제 고향사랑기부제를 통해 군민 복지를 늘려나가고 애향심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고민을 해야 한다. 이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고향을 지키는 군민과 지자체, 출향인 간의 끈끈한 유대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