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의 빈집이 하루가 다르게 늘어나고 있다. 빈집은 인구 감소에 따른 소멸 위기의 농어촌 공동화 현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상징이기도 하다. 앞으로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빈집은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빈집은 1년 이상 거주자가 없거나 사용하지 않는 주택, 건축물이라고 규정되어 있다. 전기나 상수도 사용량을 근거로 빈집 여부를 추정한다. 이런 기준에 의해 해남의 14개 읍·면에는 현재 빈집이 1913채에 이르는 것으로 잠정 파악되고 있다. 대부분의 빈집은 자녀가 부모에게 물려받은 뒤 살지 않고 보유만 하는 경우이다. 활용할 계획도 없이 무작정 방치하고 있는 것이다.

빈집은 농어촌 마을의 미관을 해치고 붕괴 등 안전사고 위험이나 범죄 온상 우려가 높다. 주민들은 흉물로 방치된 빈집을 지나치면서 어쩐지 께름칙한 느낌도 많이 받는다.

농어촌의 빈집 문제는 해남만이 아닌 전국에서 공통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국감자료에 따르면 전국 농어촌 빈집(주택 및 건축물)은 6만5203채에 이른다. 전남은 1만7648채로 전국의 27.1%를 차지했다. 전남의 인구 감소세가 그만큼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는 셈이다. 빈집 문제는 지역사회를 넘어 국가적인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해남군도 빈집 정비가 큰 골칫거리이다. 3년 전 '빈 건축물 정비에 관한 조례'를 만들었다. 군민이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올 들어 한국부동산원에 빈집 실태조사 용역을 의뢰해 이를 토대로 자진 철거 비용이나 리모델링 비용 일부를 지원할 방침이다. 하지만 타지에서 생활하고 있는 소유자를 찾아 이를 유도하는 작업이 결코 쉽다고 할 수는 없다.

이런 방안을 추진하는 게 마땅하지만 농어촌 재생 차원에서 보다 다각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북일면주민자치회 주도로 성공을 거둔 빈집 리모델링을 통한 인구 유입이나 농산어촌 유학의 생활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있다. 귀농·귀촌인의 정착 지원을 위한 임대 주택으로 이용하거나 마을 주민들과 협력해 다양한 사업을 펼칠 수도 있다.

농어촌 빈집의 철거만이 해법은 아니다. 철거가 한 방편이기는 하지만 더 나은 농어촌을 조성하는 모델도 강구해야 한다.

앞으로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는 빈집 문제 해결을 위해 보다 다양한 대책이 요구된다. 빈집 증가는 어찌할 수 없는 추세이다. 소멸 위기의 농어촌이 더 나은 환경으로 나아가는 전화위복으로 삼는 지혜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