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년(해남향교 전교)

 
 

음력 8월 15일인 모레는 우리 민족의 최대 명절인 추석이다. 한가위, 중추절(仲秋節), 가배(嘉俳), 중양가절(仲陽佳節) 등으로도 불리는데 가장 많이 쓰이는 추석이란 말은 8월 보름달의 월색(月色)이 가장 좋아 '예기(禮記)'에서 '춘조월 추석월(春朝月 秋夕月)'이라 한 데서 비롯됐다. 한가위라는 말은 가배가 '가위'로 바뀌었다는 설이 있다.

가배의 유래를 보면 신라 유리왕 당시 두 공주를 시켜 6부의 여자들을 반으로 나눠 7월 보름날부터 베를 짜고 8월 보름까지 성적을 매긴 후 진 편이 이긴 편에게 음식 대접을 하며 즐겼다고 한다. 이를 가배라고 했다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신라가 발해와 전쟁에서 이긴 기념일을 명절로 삼았다고도 한다.

올해 추석(양력 9월 10일)은 예년보다 유난히 이르지만, 추석이면 보통 한해 농사를 끝내고 오곡을 수확하는 시기이다. 우리 선조는 추석 명절에 음식을 푸짐하게 장만해 차례를 지냈다. 그래서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는 말도 내려온다.

중국에서는 중추(仲秋), 월석(月夕)이라 부르며 명절로 삼고 있지만, 우리는 추석으로 1년 속절(俗節) 가운데 가장 중요한 명절로 여겼다. 속절은 제삿날 이외에 철 따라 사당이나 선영에 차례를 지내는 날이다. 보통 설이나 한식(寒食), 단오(端午), 추석 등을 이른다.

지금은 사라졌으나 추석을 전후해 '반보기(중로상봉·中路相逢)'라는 아낙네만의 독특한 풍습이 있었다. 여자가 시집을 가면 여간해서 친정 나들이가 쉽지 않으니 친정 부모는 항상 시집간 딸을 걱정하고, 딸 또한 친정 부모님에 대한 그리움은 당연했을 것이다. 정월 설과 보름은 아낙네의 외출을 꺼렸으니 추석 명절 뒤가 오랜만에 상봉하는 데 알맞은 시기였다. 그래서 추석 전후해서 보통 시댁과 친정의 중간쯤 되는 산이나 골짜기를 정해 어머니와 딸, 그리고 사돈끼리 만나서 장만해 온 음식을 나누고 서로 안부를 살피며 저녁 무렵 헤어졌다고 한다. 이런 반보기는 없어졌으나 추석 뒤에 친정에 가서 놀다 오게 하는 풍습은 이어지고 있다. 이때는 햇곡식으로 만든 떡과 술, 안주를 보냈다. 조선 후기인 헌종 때 다산 정약용의 둘째 아들 정학규가 지은 가사인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8월령(八月令)'에도 '며느리 말미 받아 본(本) 집에 근친 갈재, 개 잡아 삶아 건져 떡 고리와 술병이라'고 노래한 대목이 나온다.

강원도에서는 친정에 갈 때 겨울옷을 가져가 친정 식구들과 함께 손질하고 다듬어 오니 일거리를 도와주는 것이고, 전라도에서는 햇곡식으로 떡과 이바지를 만들어 먼저 시부모 공양하고 친정에 가져가니 이것을 '올벼 이바지'라 한다. 제주도에서는 이를 철갈이라 하여 음식을 먼저 본향신당(本鄕神堂)에 천신(薦新·신에게 먼저 올림)한 뒤 시부모께 드리고 친정 부모님께도 드렸다.

이런 풍습이 지금에 이르러서도 명절에 민족의 대이동으로 이어지고 있으니 우리 민족만이 갖는 또 하나의 미풍양속이라 하겠다. 다만 코로나19의 팬데믹에다 고물가와 어려운 경제적 상황을 고려하면 조상에게 올리는 차례상과 가족·친척끼리 만남이 예전처럼 그리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우리 국민은 이런 위기 상황을 슬기롭게 극복해왔기 때문에 마음만은 넉넉하고 서로 보듬으며 위로와 격려로 훈훈한 추석 명절을 보냈으면 한다. 그리고 내년 추석에는 더 풍요롭고 즐거운 만남이 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