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군은 지난 2010년 인구 8만선이 무너진 데 이어 10년 만인 2020년 7만선마저 붕괴됐다. 지금도 매년 1000명 이상이 줄어드는 상황이다. 특히 20~40대 청년층의 감소가 가장 심각하다. 해남의 인구감소세를 늦추고 증가세로 돌리기 위해서는 빠져나가는 청년을 붙잡고 도시청년을 유입하는 새로운 정책이 필요하다. 본지는 기획취재를 통해 해남지역 실태를 점검하고 청년인구 유입에 나서고 있는 타 자치단체의 사례를 통해 해남의 정책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편집자 주>

<싣는 순서>

① 해남 청년유출 심각… 청년정책은
② 청양은 처음이지… 청년마을 만들기
③ 청년이 손대니 지역특산물이 달라졌다
④ 귀농 후배들 이끌어 주는 귀농 선배들
⑤ 도시청년 정착 돕는 강화유니버스

 

10여 년간 1만1000명 줄어… 80%가 청년
성장 더디고 가계 소득·소비도 줄 수밖에

청년층 감소는 지역 내 경제활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핵심생산인구가 감소한다는 것으로 지역의 경제활력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핵심생산인구는 생산가능인구(15~64세) 중 경제활동이 가장 왕성한 시기인 25~49세에 해당하는 인구로, 이 연령층이 감소하면 경제 성장이 더뎌지면서 가계 소득과 소비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

해남의 인구구조가 부양이 필요한 군민은 갈수록 늘어나지만 부양할 군민은 점차 줄어드는 구조로 가파르게 변하고 있는 것이다. 생산인구 비중 역시 2012년 61.4%에서 2017년 59.4%, 지난 2월 57.3%로 줄어드는 실정이다.

때문에 떠나는 청년을 붙잡고 도시청년을 해남으로 유입하는 방안이 시급히 마련될 필요가 있다.

 
 

통계청 자료를 살펴보면 지난 2월 기준 해남군 인구는 6만7071명으로 10여 년 전인 2012년(7만8150명)보다 1만1079명이 줄었다.

해남군이 '해남군 청년 발전 기본 조례'에 명시한 청년기준은 만 18세 이상 49세 이하로 이 기간 청년은 8857명 줄었다. 10여 년 간 줄어든 인구의 80%가 청년층인 것이다.

연도별 해남지역 청년 인구수를 살펴보면 2012년 2만7371명, 2017년 2만3372명, 2021년 1만8665명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 인구에서 청년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2년 35%, 2017년 31.7%, 2021년 27.8%로 줄었다. 올해 들어서도 두 달 만에 151명이 줄었으며 이에 따른 청년인구 비중도 0.2%포인트 감소했다.

2012년과 지난 2월 기준으로 비교해보면 청년인구 감소의 심각성이 더욱 두드러진다. 이 기간 중 60대와 80세 이상 연령층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인구가 줄었다.

먼저 30대 감소세가 가장 두드러졌다.

2012년 해남군 인구 기준 30대는 7929명이었지만 지난 2월에는 4470명으로 43.6%(3459명)가 줄어 연령대 중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전체 인구 중 차지하는 비중도 10.1%에서 6.7%로 3.4%포인트 줄었다.

40대는 1만718명에서 7642명으로 28.7%(3076명), 20대는 7000명에서 5319명으로 24%(1681명) 줄었다. 이에 따라 40대 인구비중은 13.7%에서 11.4%로 2.3%포인트, 20대는 8.9%에서 7.9%로 1%포인트 감소했다.

영·유아와 청소년 등의 자녀를 두고 있는 20~40대 인구감소는 19세 이하 인구수 감소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실제 이 기간에 10대는 8190명에서 4972명으로 39.3%(3218명), 9세 이하는 5658명에서 3559명으로 37.1%(2099명)가 줄었다.

청년 인구감소는 직장, 자녀교육 등의 이유로 해남을 빠져나가는 전출자가 해남으로 들어오는 전입자보다 더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2012년 당시 20~24세는 3746명이었지만 10여 년이 흐른 2022년 2월 기준 30~34세는 1941명으로, 단순 수치로만 비교했을 때 절반 가까이인 1805명이 빠져나갔다.

25~29세(3254명)는 10년 뒤 2529명(35~39세)으로 725명이, 15~19세(4307명)는 10년 뒤 2353명(25~29세)으로 1954명이, 5~9세(2706명)는 10년 뒤 2581명(15~19세)으로 125명 줄었다. 30~34세(3729명)도 10년 뒤 3396명(40~44세)으로 333명 줄었다. 지난 10년 동안 인구가 증가한 연령은 60대와 80세 이상뿐이다.

60대는 1만868명에서 17.7%(1924명)가 증가해 1만2792명으로, 80세 이상은 4326명에서 67.2%(2906명) 증가한 7232명에 달했다. 이에 따라 인구비중도 60대는 13.9%에서 19.1%로 5.2%포인트, 80세 이상은 5.5%에서 10.8%로 5.3%포인트 증가했다. 전체 인구 중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갈수록 줄어드는 반면 노년층 비중은 늘고 있는 것이다.

군, 주거·일자리 등 새로운 정책 지원
청년팀, 청년 플랫폼 구축 등도 필요

해남군은 올해 주거, 일자리, 복지문화 등 분야에서 새로운 청년정책을 발굴해 지원하고 있다. 청년이 현재 사람이 거주하지 않고 있는 빈집을 빌릴 경우 최대 1500만원의 주택 리모델링 비용을 지원하는 것을 비롯해 무주택 청년을 대상으로 월 20만원씩 최대 12개월 월세를 지원하는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해남군으로 이주 계획이 있는 청년에게는 월 10만원씩 최대 6개월간 임시 주거비도 지원한다.

1500만원 범위에서 창업을 지원하는 땅끝 해바라기 청년창업 지원사업, 유휴공간을 리모델링해 창업공간으로 꾸밀 수 있도록 하는 청년 창업공간 지원사업, 부모나 조부모의 가업을 이어받는 청년을 위한 소상공인 가업승계(확장) 지원사업도 올해 신규로 추진 중이다.

신규 청년농업인을 위한 영농기반 구축, 선도농가 기술이전 모델화 지원도, 청년들의 복지문화 향상을 위한 청년마음건강지원, 문화복지카드, 산업단지 중소기업 청년교통비 지원도 신규사업으로 올해부터 지원이 시작된다.

▲ 해남지역 청년들이 어울리며 고민을 나누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소통공간으로 지난해 8월 문을 연 해남청년두드림센터.
▲ 해남지역 청년들이 어울리며 고민을 나누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소통공간으로 지난해 8월 문을 연 해남청년두드림센터.

이외에도 군은 청년 희망 디딤돌 통장, 청년 커뮤니티 활성화, 청년 어촌 정착 지원, 연구동아리 지원, 창업농장 조성, 근속장려금, 결혼축하금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도시권을 제외한 농촌지역 자치단체 대부분이 청년 유입을 위해 앞다퉈 정책을 발굴·시행하고 있다 보니 보다 차별화되고 꼼꼼한 지원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해남에 현재 거주 중인 청년들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정책을 우선 마련하는 한편 주거지원정책도 강화될 필요가 있다. 소득이 불안정한 청년들로서는 정착비용에 대한 부담이 클 수밖에 없는 것. 이와 함께 해남군이 추진 중인 각종 지원정책이 청년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플랫폼 구축과 실제 청년의 목소리를 담은 정책 마련을 위한 소통 강화도 필요시 되고 있다.

공남임 청년로컬문화크리에이터연구소장은 "일자리가 있어야 청년들이 머물지 않겠냐고 말하는 분들도 있지만 청년들을 만나 보면 주거에 대한 어려움을 가장 많이 이야기한다"며 "해남군이 주거 지원을 위해 일정기간 월 10만원씩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지만 이것보다 장기적으로 청년임대주택을 건립하고 단기적으로 원룸을 군에서 구입해 청년에게 임대하는 방식 등 보다 직접적인 주거지원정책이 필요할 때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에 거주 중인 청년들이 역으로 소외받지 않고 더 이상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데 해남군의 청년정책 방향을 설정할 필요도 있다"며 "해남에 살고 있다고 하면 도시에서 실패해 내려온 걸로 바라보는 시선들이 있어 청년들이 마을로 들어가지 않으려고 하는 만큼 청년을 바라보는 지역의 인식부터 변화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해남군이 새롭게 시작될 민선 8기를 앞두고 조직개편을 준비 중인 만큼 유기적이고 촘촘한 청년정책 발굴과 지원을 위해서는 청년팀 신설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크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