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대선 TV 토론 때의 일이다. A 후보가 'RE100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묻자 B 후보는 'RE100이 뭐냐'고 되물었다. '100% 재생에너지'라고 하자,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했다. 활발한 토론은 없었다. 사실 지난 대선 과정에서 기후환경 분야의 쟁점 토론은 거의 없었다.

금세기 중엽 'RE100이 가능할까, 아니면 불가능할까.' 지난해까지 한국, EU(유럽연합, 27개국), 미국, 일본 등 많은 나라들이 '2050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즉, 석탄 석유 등 화석에너지에서 탈피할 것을 다짐한 것이다. '탄소중립'은 세계적인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이자, 국제사회의 약속이다. 탄소중립은 RE100과 비슷하다. 그 길을 외면하면 인류는 기상재난 등 각종 재난에 휩싸일 수밖에 없다. 인류가 안녕과 건강, 행복을 추구한다면 반드시 가야 할 길이다. RE100은 가능하다. 그만큼 노력이 있을 때 그렇다.

세계적으로 유수한 다국적 기업들인 애플, 구글, GM, 국내 SK그룹 등 355개 기업이 자발적으로 'RE100'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다. 그들은 경영에 필요한 에너지를 2050년 이전까지 '100% 재생에너지'로 충당할 것을 약속했다. 세계 각국의 수백 개 지방정부 또한 자발적으로 RE100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다.

지금까지 인류의 주력 에너지원은 화석이다. 그러나, '2050 탄소중립'을 성취하려면 점진적으로 화석에너지에서 멀어져야 한다. 대신 태양이나 바람, 지열 그리고 바이오, 해양(조류) 등을 이용하는 재생에너지로 가야 한다. 지금 국내외에서 재생에너지가 화석에너지를 몰아내고 주력에너지로 자리하기 위해 맹렬히 확대되고 있다.

세계는 그렇게 변화해 가고 있다. EU 국가들, 영국, 미국, 캐나다, 일본 등 선진국들이 변화를 선도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변화는 매우 더디다. 현재 한국의 재생에너지 도입 비율은 7% 내외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38개국) 국가 중 최하위이다. 역대 정부가 기후위기 대응에 소홀했고, 재생에너지 도입에 소극적이었기 때문이다.

'2050 탄소중립, 2030 40% 탄소감축'은 작년 확정된 한국의 야심찬 기후위기 대응 목표이다. 해남도 정부의 목표에 부응하는 전략을 수립, 실행해야 한다. 그만큼 재생에너지를 확대해야 한다.

그러나 태양광이나 풍력의 도입을 두고, 실제 현장에서 갈등과 대립이 계속되고 있다. 그동안 이런 실상을 '해남신문'은 수 차례 보도하고 있다. 농어민들의 반대의 이유도 있을 것이다. 주민들의 공감대 없이 일방적인 사업 강행은 안 된다. 입지선정부터 건설공사에 이르기까지 주민들이 참여해야 한다.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환경파괴나 주민피해 여부 등이 충분히 토론되어야 한다. 또한 실제 주민들이 협동조합 등을 형태로 사업에 참여하고, 발전사업에서 발생한 이익을 공유하는 방안도 있어야 한다.

해남군의 역할이 중요하다. 탄소중립을 표방하는 만큼, 재생에너지 확대와 RE100, 주민참여와 소득 증대, 일자리 창출 등 세부 정책을 가져야 한다. 주민들이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재생에너지의 존재를 공감하고 있다. 다만 입지나 주민들의 수용성이 문제인 만큼 충분한 소통의 과정을 거치면서 상생의 발전적 대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