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낙평(전 광주환경운동연합 의장)

 
 

기후위기는 결코 먼 나라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나라의 현실이고, 전남이나 해남이 이겨내야 할 과제이다. 유엔 산하 IPCC(기후변화범정부위원회)의 과학자들은 '지구상에 기후변화로 안전한 곳은 어디에도 없다'고 했다.

해남에서도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느낄 수 있다. 해수 온도의 상승에 따라 어장 생태계의 심대한 악영향을 받고 있고, 각종 농산물의 작황에도 직접적 타격을 목격한다. 언제든지 극심한 폭염이나 태풍, 홍수 그리고 가뭄이 예고 없이 찾아올 수 있다.

이는 전 세계적 현상이고, 날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수년 전부터 TV 등을 통해서 세계 각처에서 발생한 여러 형태의 기후재난을 봤을 것이다. 국제적으로 '기후변화'를 '기후위기'라고 말하고 있다. 그만큼 화급한 문제이며, 비상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뜻이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2050 탄소중립' 혹은 '2050 순제로(Net-Zero) 배출'이란 대응책을 제시했다.

세계는 2050년, 지금부터 28년 후 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 배출을 해서는 안 되며, 다소 배출하더라도 숲 가꾸기 등 탄소의 흡수원을 통해서 상쇄하자는 것이다. 그렇게 해야만 인류가 안전하고 평화롭게 살 수 있다. 현재의 흐름을 방치한다면,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대재앙'이 인류사회를 강타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지난해 코로나19 대유행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에서 기후위기, 혹은 탄소중립에 관한 크고 작은 뉴스가 넘쳤다. 유엔은 지난해 11월, 영국 글래스고우(Glasgow)에서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개최하여 인류가 어떻게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할 것인지 논의했다.

이 회의에서 만족할 만한 합의를 도출하지는 못했지만, 금세기 중엽 탄소중립이 대세라는 사실과 이를 이루기 위해 노력을 계속할 것을 합의했다. 모든 나라가 지금부터 행동에 나서 2030 50% 감축, 2050 탄소중립, 2030~40년 석탄 퇴출, 화석연료 사용 및 개발억제, 열대우림 파괴 및 토지 황폐화 중단 등 지속적인 노력을 경주하기로 했다.

우리나라도 '2050 탄소중립, 2030 40% 감축'을 국제사회에 약속했다. 이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유럽연합의 폰 데어 레이언 집행위원장은 유럽의 2050 탄소중립은 '유럽인을 달나라에 보내는 일'만큼 그리 쉽지 않다고 했다. 약속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및 상품의 생산과 소비, 교통 수송, 기업경영, 주거와 건축, 농축산 등 모든 영역에서 탄소를 제로에 가깝게 빼야 한다. RE100(재생에너지 100%) 성취, 교통수단과 각종 건축물의 녹색화, 탄소중립 기업경영, 친환경적인 농축산업 등 정책의 전환이 필수이다. 약속한 만큼 지금부터 실행에 나서야 한다.

지방정부로서 해남도 예외일 수 없다. 정부의 정책이 성공하려면 지방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해남도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중장기 목표와 세부 시책을 가져야 한다. 향후 10년, 2030년 온실가스 40~50% 감축의 1차적인 목표와 세부정책을 실행해야 한다. 행정과 의회, 주민이 합의한다면 농어촌 지방정부로서 가장 모범적인 탄소중립의 미래에 충분히 다가갈 수 있다.

탄소중립의 길은 선택이 아니고 필수이다. 해남은 과거 대규모 석탄발전이나 원전을 군민의 총의로 거부했던 경험이 있다. 안전한 탈탄소 녹색의 해남을 위한 염원에서 그렇게 한 것이다. 신년 새해, 탄소중립을 위한 해남의 활기찬 움직임이 있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