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인력난은 우리나라 모든 농촌이 안고 있는 최대 현안의 하나이다. 농촌 일손 부족현상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따라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마침 해남군과 군의회가 인력난의 현장 실태를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잇따라 토론회를 개최한다. 오는 12일 군의회에 이어 1주일 만인 19일 해남군도 토론회를 마련한 것이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농민단체 등의 현장 목소리를 들어보고 전문가의 발표도 있게 된다. 이제라도 토론회를 통해 대책을 모색하게 되어 다행이다.

농촌 인력난은 또 인건비 상승으로 이어진다.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인건비가 오를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농번기에는 일당이 14만~15만 원에 형성되는가 하면 일부에서는 17만 원을 줬다는 얘기도 들린다. 중소농은 '천불이 나서 농사 못짓겠다'며 한탄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에 따라 외국인 노동자들의 입국이 어려워지면서 농가마다 인력난에 따른 힘겨운 한 해를 보냈다.

해남군과 의회가 이번에 인력난 해결을 찾아보자며 마련한 토론회가 형식적인 행사에 그쳐서는 안 된다. 이를 토대로 인력 부족을 해소하는 방안을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 그 중에서도 농촌 인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외국인 노동자의 원활한 공급방안이 나와야 한다. 일부 외국인 노동자는 브로커에게 1000만 원 정도의 소개비를 주고 국내로 들어온다는 말도 나온다. 이들 계절노동자는 3개월이나 5개월 체류하고 다시 출국해야 한다. 거액을 주고 입국한 이들이 불법체류자로 전락하는 이유이다. 그래서 외국인 노동자의 안정적인 공급과 관리에 지자체가 나서야 한다. 그래야 천정부지로 치솟는 인건비도 적정선에서 안정시킬 수 있다.

농촌 인력난 해소를 위해서는 비단 외국인 노동자에게만 기댈 수는 없다. 농번기에는 대도시의 구직인력을 유입시키는 방안도 필요하고, 지금은 사라진 중고교생의 일손돕기도 한 번쯤 검토해야 한다. 지난해 농번기를 맞아 시행됐던 노인 일자리사업 잠시 중단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이들 노인에게 일자리사업 예산을 그대로 집행하고 일하는 농가에서 인건비도 받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이번 토론회가 늦었지만 만성적인 농어촌 인력난 해결책을 찾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되어야 한다. 농어촌의 수많은 현안 가운데서도 인력 부족은 하루빨리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이기 때문이다. 정부의 정책만 바라봐서는 안 된다. 해남의 상황에 알맞는 맞춤형 인력난 해소 방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