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따른 시골마을의 소멸위기는 우리나라의 모든 농촌이 떠안고 있는 현안 가운데 하나이다.

농촌의 이런 현실은 여러 요인이 맞물려 있다. 이를 하나로 축약하면 도시보다 살만하지 않다는 데 있다. 요즘 농민들이 풍년에도 떨어지는 쌀값에 웃지 못하거나, 열악한 일자리·교육·의료·복지 등의 문제가 얽혀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말 해남에서 출발한 '국민총행복과 농산어촌 개벽 대행진'도 위기의 농촌을 살리기 위한 몸부림이다. 농촌문제에 대해 너무나 무심한 정치권과 지식인들에게 '경고'를 던지고 관심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전국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북일의 '작은 학교 살리기' 운동도 위기의 농촌을 살려보자는 데서 출발한다. 북일에 있는 단 두 개의 학교인 북일초등과 두륜중이 폐교 위기에 놓였다. 학교 즉, 학생이 없으면 지역도 사라진다는 절박함에서 시작됐다. 북일면 주민자치회가 앞장선 '학생 모심'이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북일로 오겠다는 전입희망 신청서가 마감을 이틀 앞두고 전국에서 118가구가 몰렸다.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둔 것이다.

이젠 넘쳐나는 이들 희망가구를 어떻게 정착할 수 있게 하느냐 하는 고민에 빠졌다. 전입가구가 살 빈집이 15채밖에 안 되기 때문이다.

주민자치회를 비롯한 북일 주민들의 눈물겨운 학생모심 운동은 해남군이 가장 나서야 할 현안이다. 해남의 인구는 매년 1000명 이상 줄어들고 있다. 지난달 말 현재 해남 인구는 6만7425명이다. 올들어 벌써 1381명이나 빠졌다. 해남군은 민선 7기 들어 지난 2019년 1월 인구정책과를 신설했다. 일자리를 만들고 출산을 장려하며 귀향·귀농을 유도함으로써 인구를 늘리거나 최소한 감소추세를 막아보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3년간 해남 인구는 4476명이 줄었다. 모든 농촌의 현상이라고 하지만 인구정책의 방향 전환이 불가피해졌다. 그 많은 예산, 행정력을 쏟아붓고도 성과가 없다면 정책을 바꾸는 게 당연하다.

북일의 사례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를 모델로 삼아 해남의 14개 읍·면에 전파해야 한다. 당장은 북일의 전입희망자를 어떻게 해남에 정착시킬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공무원 1~2명이 지원사격을 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군수부터 앞장서 챙겨야 한다. 인구문제는 해남의 최대 현안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제라도 군은 북일의 학생·학부모 모시기 운동을 모델로 삼아 인구 유입에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