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편의 뒷전...자로 긋는 도로행정
인간과 환경이 공존하는 도로정책 서둘러야

국도 13호선 18호선 77호선 등 군내 전 지역에 도로공사가 진행되면서 지역민의 편의를 무시한 도로공사가 진행돼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국도 18호선이 완공된 계곡면은 구도로와 신도로가 교차하는 지점의 선형이 급해 ‘죽음의 S자도로’가 만들어져 주민들의 끊임없는 요구로 2년만에 일부 구간의 선형이 완화됐지만 5곳의 교차로가 위험요소를 여전히 지니고 있다. 지금은 국도 77호선으로 승격된 화원∼ 문내 간 국도는 전구간이 평면교차로로 설계돼 마을과 마을을 오가는 차량과 주민들, 마을과 농지를 오가는 농기계가 교통사고 위험에 노출될 것을 우려해 해당지역 주민들이 11개 지역을 입체교차로로 바꿔줄 것을 요구해 그중 다섯 곳에 통로박스가 설치된 입체교차로가 만들어지게 됐다. 국도13호선 공사가 한창인 화산면은 대책위(위원장 박종근)까지 만들어 진출입로를 보장하라는 요구를 하고 있지만 익산청이 기준과 예산부족을 들어 불가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해남과 완도를 잇는 국도13호선은 화산면을 거처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면의 진출입로가 삼산면 해창에 설치돼 주민들에게 불편을 주고 있다. 주민들은 화산면은 쌀과 김이 많이 생산돼 물동량이 많은데 삼산면 해창에서 진출입을 해야하고 옹색한 교차로 탓에 사고의 위험까지 안게 됐다며 화산면과 가까운 나불재에 진출입로 설치를 요구하고 있다. 주민들은 공사는 끝나면 그만이지만 이 공사 때문에 주민들은 두고두고 불편을 겪어야 하기 때문에 가깝고 안전한 진출입로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공사기준과 예산문제를 들어 익산청이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또한 도로공사 중 마한시대 주거지터와 유물이 출토된 삼산면 신금리는 그 문화유적의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선형을 변경할 경우 막대한 예산이 소요된다며 공사를 강행하고 있다. 시공사와 익산청은 이러한 유적지가 전국적으로 많아 그 가치가 낮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지만 주민들은 인근 옥녀봉토성 등 마한시대 유적들과 연계할 경우 훌륭한 자원이라며 익산청의 공사편의 주의를 비난했다. 구도로와 신도로를 연결하는 진출입로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읍에서 두륜산으로 가는 지방도로와 국도 18호선이 만나는 평동 사거리는 대흥사를 찾는 관광객들과 읍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소통이 많은 곳이지만 18호선의 진출입로와 지방도가 평면으로 겹쳐 있어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화원면 중리 국도 77호선 공사로 인해 일부주민들이 고립되고 주민들이 영농활동 지장과 생활의 불편을 겪게돼 대책마련을 요구했지만 전남도와 시공업체가 공사를 강행해 비난을 받고 있다. 중리주민들은 지난 2002년부터 이 지점에 통로박스나 육교를 설치해 줄 것을 요구했지만 지난달 15일 발주처인 전라남도와 시공사인 동부건설은 화원면 중리에서 구선창을 잇는 길을 파버려 구선창에서 살고 있는 4가구 10여명 주민들과 이 길을 이용해 농사를 짓고 있는 중리마을 주민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는 것이다. 이 도로는 당초 설계 시 이 지점에 통로박스를 설치하는 것으로 설계됐으나 이후 설계가 변경돼 한 마을이 4차선 도로로 분리돼 버려 주민들이 끊임없이 대책마련을 요구했던 곳이다. 이곳에 횡단보도를 설치하더라도 사고 위험이 높고 현재는 계획도 없어 공사가 끝나면 구선창 마을 학생들은 코앞에 학교를 가기 위해 무단횡단을 하거나 2km를 걸어다녀야 한다. 또한 면소재지 중리 본마을 주민들도 밭작물을 수확하려면 리어커나 경운기 등이 통행할 수 있어야 하며 올해부터는 간척지 농사를 짓게돼 60가구 주민들의 진출입이 더욱 잦아 질 것이라며 눈앞에 보이는 논밭을 성산 구지교차로로 6km나 돌아다닐 이유가 없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구선창 4가구 주민들은 육교나 통로박스를 설치하지 못한다면 이주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전라남도와 시공업체는 사례가 없는 일이라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화원면 중리 주민들은 지금은 도로를 내면서 동물들이 다니는 길까지 만들어주고 비탈면도 멋있게 꾸미는 등 친환경적인 도로를 만들고 있는데 사람이 다닐 수 없도록 만드는 것은 있을수 없는 후진적인 처사라고 꼬집었다. 또한 지금은 군사독재시절처럼 자로 대고 그어서 도로를 내던 때와는 사정이 달라졌기 때문에 도로정책도 환경과 사람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방법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준과 예산에만 얽매여 공사를 할 경우 이로인한 불편은 도로를 사용하는 주민들의 몫이 될 수 밖에 없다. 최근에는 도로를 내는데도 인간과 환경을 중시하는 것으로 개념이 변화하고 있어 지역민들의 편의를 고려한 도로공사가 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