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10년간 1만명 감소… 매년 1000명꼴
전입자보다 전출자 많은 사회감소 요인 커

 
 

① 해남군 인구 반등 방안 없나
② 민간 협업으로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 모색
③ '청년이 몰려온다' 의성군 청년시범마을
④ 주민들이 머리 맞대 마을에 활력 넣어
⑤ 부여로 모여드는 청년 공예인들

 

농촌 고령화와 인구 감소가 계속되면서 해남지역도 지역소멸위험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일부 동네는 젊은 사람을 찾아보기 어렵고 아이 울음소리마저 끊어진 지 오래다. 흔히 65세 이상이면 노인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시골마을에선 이들이 청년회 활동을 해야만 한다. 지역을 구성하는 가장 기초단위 공동체인 마을을 살리기 위해 도시로 떠나는 청년들을 붙잡고, 도시에서의 삶에 지친 청년들을 지역으로 끌어들이고,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편집자주>

 

 
 

화산면에 위치한 호동마을은 현재 13명의 주민들이 모여 사는, 해남에서 가장 작은 마을이다. 2010년 발행된 해남군 통계연보에 따르면 당시 호동마을 주민 수는 36명으로 10년 사이 절반 이상 줄었다.

한적한 시골에 위치해 귀농·귀촌인들도 자주 찾는 마을이었지만 인근에 위치한 퇴비공장에서 발생하는 악취에 정착하지 못하고 떠나갔으며, 원주민들마저도 인근 마을로 이사 가거나 해남을 떠나는 경우가 있었다고 한다.

마을 관계자는 "20년 사이 20가구 정도가 마을을 떠났다"며 "악취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주민들이 다시 찾아오긴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일자리, 자녀 교육, 생활환경, 문화여건 등 다양한 이유로 해남을 떠나는 인구가 해남으로 들어오는 인구보다 많다보니 매년 해남 인구는 줄어들고 있다.

군내에서 주민 수가 30명도 되지 않는 마을은 화산면 호동마을 13명을 비롯해 송지 현안마을(19명), 화원 섬동마을(20명), 옥천 한천마을(22명). 마산 고암마을(22명), 산이 대명마을(23명), 북평 서호마을(24명), 황산 청룡마을(24명) 등이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황산 청룡마을은 26명이, 옥천 한천마을은 18명이, 산이 대명마을은 17명이, 화원 섬동마을은 10명이, 송지 현안마을은 8명이, 북평 서호마을은 1명이 줄었다. 마산 고암마을은 8명이 늘었지만 여전히 30명을 넘지 못하고 있다.

해남군의 지난 2020년 말 기준 주민등록상 인구는 6만8806명으로 10년 전인 2010년 7만9579명보다 1만773명이 줄었다. 이는 매년 1077명꼴로 인구가 감소한 것으로, 지난 2010년 인구 8만선이 무너진데 이어 10년만인 지난해 7만선마저 무너졌다. 전남 군지역 인구 1위를 자랑하던 해남군은 지난 2013년 무안군에 밀려 2위로 떨어지는 등 계속해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들어서도 감소세는 계속되고 있다. 지난 2월 말 기준 인구 수는 6만8589명으로 전달보다 147명이 줄었다. 지난 2월 출생아는 26명인 반면 사망자는 62명으로 36명이 자연감소했을 뿐만 아니라 해남으로 들어온 전입자는 341명인 반면 해남에서 나간 전출자는 452명이다보니 사회감소가 111명에 달했다. 이같이 해남군의 인구감소는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많은 자연감소에 더해 매년 해남에 들어오는 전입자보다 해남에서 나가는 전출자가 더 많기 때문이다.

본지가 통계청과 해남군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0년부터 2020년까지 해남에서 태어난 출생아는 7273명인데 반해 사망자는 1만192명으로 지난 10년 사이 2919명이 자연감소했다.

 
 

전출과 전입 차이에 의한 인구감소는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10년간 해남군을 빠져나간 전출인구는 8만803명에 달한다. 그나마 지난 2010년 9632명을 기점으로 2012년 7523명, 2015년 7165명, 2018년 6778명, 2020년 6422명으로 전출인 수가 줄어들고 있다.

반면 이 기간 전입인구는 7만584명으로 전출인구보다 1만219명이 적어 지난 2010년 당시 해남군 인구(7만9579명)의 1/7 정도가 10년 사이 빠져나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20~50대 생산가능인구 전출 많아
전출사유로는 직업·가족·주택 순

지난해 전출자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가 1477명(23%)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졸업한 후 안정적인 일자리 등을 찾아 도시로 이주하는 젊은이가 많기 때문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어 30대가 1093명으로 17%, 40대가 853명으로 13.3%, 50대가 825명으로 12.8%를 차지했다. 사실상 경제활동의 주축이 되는 생산가능인구(15~64세)에서의 전출이 두드러지는 것이다.

또한 0~9세 인구의 전출도 728명(11.4%)에 달했으며 학생들인 10대도 464명(7.2%)이 빠져나갔다. 이는 자녀 교육을 위해 더 나은 교육여건이라 판단되는 도시권으로 이사를 가고 특히 해남군리틀야구단 선수들은 군내 중학교로 진학할 경우 야구를 포기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보니 꿈을 쫓아 부득이 지역을 떠나는 경우도 있다.

전출자 중 60대는 524명(8.1%)이, 70대는 233명(3.6%)이, 80세 이상은 147명(2.9%)이 해남을 빠져 나갔다.

전입인구는 50대가 982명(18.1%)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20대가 961명(17.7%), 30대가 862명(15.9%), 40대가 845명(15.5%), 60대가 621명(11.4%), 0~9세가 429명(7.9%), 10대가 372명(6.8%), 70대가 212명(3.9%), 80세 이상이 147명(2.7%) 순이었다.

본지가 해남군의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인구통계를 분석한 결과 전출사유로 33.5%가 '직업'을 꼽아 가장 많았다. 이어 가족이 30.9%, 주택이 16.1%, 교육이 8.5%, 교통이 3.3%, 건강이 1.2% 순이었다. 기타는 6.5%였다.

지난 2019년에도 직업이 32.7%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가족(32%), 주택(15.6%), 교육(8.7%), 교통(3%), 건강(1%) 등의 순이었다.

 

 
 

해남 7만 인구 회복 '다시 뛴다'

△ 6개월 이상 주소 전입장려금 지원
△ 귀농귀촌인 빈집 리모델링 임대
△ 신혼부부 대출 지원 결혼 장려금

자녀 교육, 부동산 등의 이유로 인근의 목포시, 나주시, 광주시 등에 주소를 두고 해남으로 출퇴근 하는 주민들은 여전히 많다. 실제 해남경찰서에 근무하는 A(41) 씨는 지난해 자녀교육 등을 이유로 목포로 이사를 가는 등 지금도 해남에서의 전출이 계속되고 있다. 

이렇다보니 군은 올해 7만 인구 회복을 위해 인구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군은 모두가 살고 싶고 누구나 체류하고 싶은 땅끝 해남의 이미지를 높이는데 만전을 기하고 있다. 주택이 필요한 귀농어, 귀촌인에게는 빈집을 리모델링해 임대해주고 일자리가 필요한 주민에게는 해남군일자리지원센터와 고용복지플러스센터 등을 통해 직업을 연결해 주는 등 맞춤형 지원책을 발굴 중이다.

군은 인구 7만 회복을 위해 유관기관과 단체 등을 찾아 해남으로의 전입을 독려하고 있다. 해남군으로 전입한 주민에게 전입장려금을 지원하는 한편 올해부터 해남군으로 전입해 6개월 이상 군에 주소를 두고 있는 전입자가 3명 이상 소속된 기관·기업에도 전입장려 기여금을 지원한다. 

귀농귀촌 과정에서 겪는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고자 전남에서 미리 살아보기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이와 함께 귀농어귀촌인에게 빈집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빈집을 리모델링해 임대해주는 빈집 은행제도 추진 중이다.

신혼부부를 위한 내집마련 대출지원, 결혼장려 지원금 등 혜택을 확대하고 있다. 

해남을 비롯해 대부분의 비수도권 자치단체들은 인구 늘리기를 위해 각종 지원정책을 발굴·시행하며 자치단체 간 경쟁도 심화되고 있어 해남만의 보다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시되고 있다. 특히 지역을 구성하는 가장 기초단위 공동체인 마을이 활기를 띨 수 있도록, 원주민과 귀촌인이 서로 어울리며 스스로 살기 좋은 마을을 만들어 갈 수 있는 토양을 다져나갈 필요가 있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