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미(전남대 교수)

 
 

2050년, 탄소 중립(Carbon Neutral)을 이루고자 하는 해이다. 경제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탄소량과 없애는 탄소량을 같게 하여, 탄소의 순 배출량이 제로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해외에선 이미 20개 국가와 지역이 2020년 6월 탄소의 순배출 제로(Net Zero) 목표를 채택했다.

이러한 국제적 흐름 속에 우리 정부도 '2050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LEDS: Long-term low greenhouse gas Emission Development Strategies)'을 올해 말까지 유엔에 제출할 계획이다. 산업, 발전, 건물, 수송 등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기존 탄소 감축 기술을 확대하면서 혁신기술을 도입한다는 내용이다.

산업혁명 이후 화석연료 사용에 따라 지구는 지난 150년 동안 1도 상승했고, 2019년 지구의 평균온도는 14.85도라고 한다. 그런데 그 1도의 변화로 인류에게 엄청난 피해와 비극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지구 어느 곳에선가는 점점 더 혹독해지는 추위와 찜통더위, 폭설, 폭우 등으로 이미 자연환경이 변해가고 있다.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팀의 보고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 생산량 감소로 인해 2050년까지 50만 명 이상이 감소될 것이라고 한다. 지구의 온도 상승을 막는 중요한 방법의 하나가 탄소 중립인 것이다.

탄소 중립은 그저 훌훌 털고 일어날 수 있는 몸살기 처방이 아니다. 생존 불가능한 환경에 직면하게 될 지구를 살리기 위한 심폐소생술인 것이다. 세계는 탄소를 많이 함축한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탄소 국경세'를 매긴다. 즉 친환경 경영이나 사업을 하는 업체가 아니라면 점차 수출이 힘들어지며, 세계 굴지의 다국적 기업은 투자 대상에서 외면하게 된다. 점차 '녹색 장벽'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탄소를 배출하는 공장 굴뚝이 상대적으로 적은 농촌은 별 상관없다고 생각될지도 모르나 온실가스와 아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농축 산업이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 중 3% 정도를 차지한다고 하나, 이는 소에서 배출되는 메탄과 농경지에서 배출되는 아산화질소 배출량만 포함한 것으로 생산, 유통, 폐기 등 모든 농축 산업 활동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와 자원까지 포함한다면 그 비중이 20%를 달한다고 한다.

논농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전체 농업 분야 배출량의 약 30%를 차지하며, 화석연료 시설에 의존하여 생산하는 채소와 과일, 가축의 사육과정에서도 온실가스가 발생한다. 게다가 기후변화의 피해는 농업에 있어서 생계의 터전을 잃을 만치 치명적이다. 2019년에도 광주, 전남의 기록적인 한파로 50년 만에 영하 13.5도라는 최저 기온과 긴 장마와 태풍을 겪어내었다. 농업은 기후 영향을 가장 피해를 많이 받는 산업이자 온실가스 배출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세계 기후변화 대응에 국가와 정부 기관이 개입하고 공적인 거대 재원이 투입될 것이다. 고탄소 경제를 탈탄소, 저탄소, 탄소 중립경제로 바꾸는 그린 뉴딜 정책 변화는 공공이 앞장서서 이끌어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탄소 중립 선언은 지구 생태계 복원을 위한 우리 모두의 실천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방정부의 탄소 중립 실천을 위한 노력에서 기업, 가정 그리고 나 한 사람의 인식변화까지 피할 수 없는 현실 개혁이 필요하다.

당장은 나 한 사람의 소비생활이 만들어 내는 탄소량이 거대한 공장 굴뚝에서, 그리고 자동차에서 뿜어대는 이산화탄소에 비하여 미약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일상 속에서 작은 행동 규칙을 마련해 실천하는 것, 그리고 그 경험과 성과를 공유해 가는 것은 미래 세대의 존엄과 생명을 지키는 시작이다. 지구를 회생시켜야할 도덕적 의무를 지키는 기업과 국가를 만들어 가는 일이 될 것이다.

지난 1월 기후적응 정상회의에서 "2050 탄소 중립을 향해 흔들림 없이 나아갈 것"이라는 대통령의 다짐이 있듯이, 우리 모두 미래 세대의 삶의 질을 회복시켜주기 위한 시대적, 세계적 흐름의 실천자로서 2050년을 기대해본다.

우리의 사랑스런 자손들에게 물려줄 유산은 건강한 지구임을 잊지 말자.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