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와 전남의 '통합호'에 시동이 걸렸다. 이용섭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지난 2일 만나 행정통합의 원칙과 방향에 대해 합의한 것이다. 6개 항목의 합의문에서 민간 중심의 통합논의를 하되 행정이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우선 광주전남연구원이 통합의 내용과 방법, 절차 등에 대해 1년간 용역을 하고, 이를 6개월간 검토해 통합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한다는 것이다.

시도 통합 추진은 비단 광주와 전남만의 일은 아니다. 앞서 대구와 경북은 오는 2022년 통합 단체장을 선출한다는 일정을 잡았고, 부·울·경(부산·울산·경남)의 동남권 메가시티에 이어 김경수 경남지사가 부산과 경남의 행정통합을 제안했다. 대전과 세종의 통합논의도 시작됐다.

광역단체들이 이처럼 다시 한 몸으로 합치려는 시도는 수도권 비대화에 대응한 생존 전략의 하나이다. 지금의 여건에서는 여러 가지로 경쟁력을 갖기 어렵기 때문이다. 행정은 물론이고 경제·문화·관광 등의 생활권을 광역화해 규모의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한 것이다. 그래야만 지방이 살아남을 수 있다는 판단이다.

광주와 전남은 원래 하나이다. 지난 1986년 광주가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둘로 쪼개졌다. 이후 재결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끊임없이 나왔다. 시도는 그동안 통합 제안을 서로 한 번씩 주고받았다.

정부가 전남도청 이전 계획을 발표한 이후 시도 통합을 공약으로 당선된 민선 1기 허경만 도지사가 1995년 통합을 공식화했다.

하지만 당시 송언종 광주시장이 자체 세입과 정부지원금 감소에 따른 개발정체 등의 이유로 반대의견을 나타냈다. 이런 연유로 '허·송 세월'이라는 비아냥을 듣기도 했다. 6년 후, 이번엔 광주시가 통합을 주장하고 나섰다. 당시 고재유 광주시장은 허 지사의 도청이전 재추진 방침에 '도청 이전이 유보되면 통합에 찬성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허 지사는 도청 이전이 집행단계에 접어들었기 때문에 재추진은 어렵다고 했다.

이번에 광주시의 제안으로 세 번째 시도 통합이 추진된다. 광주와 전남이 쪼개진 지 34년만이다. 실패로 끝난 이전의 두 번 통합 추진 때와 상황이 다르다. 광주와 전남이 각자도생의 길로 경쟁력을 찾기에는 여러 여건이 좋지 않다. 시도가 하나로 뭉치면 330만명의 광역권이 이뤄지게 된다. 시도 통합은 자연스러울 뿐 아니라 시대적 요청이기도 하다. 이번 시도 추진과정에는 여러 장애요소도 있을 것이다. 이를 지혜롭게 헤쳐 나가 반드시 성과를 내는 길로 나아가야 한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