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우선(해남군소상공연합회장)

 
 

매월 전국의 기아자동차 정비센터 권역대표들이 모이는 회의자리에 참석하면 별도로 친분이 있는 수도권 대표들과 도시와 농어촌의 업계 상황, 현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곤 한다. 이 자리에서 도시에 비해 젊은 정비사를 구하기 어려운 현실을 토로하게 된다. 한번은 친한 수도권 대표와 이야기 나누다 송지가 고향인 자동차 정비사가 이젠 고향에 내려가고 싶다는 말을 자주했다며 만남을 주선했다. 이 청년의 이야기를 들어보니 젊은 시절엔 도시에 동경이 있었지만 차츰 나이가 들면서 고향에 대한 향수가 짙어졌다고 한다. 그 자리에서 "그럼 조건이 맞으면 고향에 내려올 수 있겠느냐"고 묻자, 그는 "그러겠다"고 답해 현재는 한솥밥을 먹고 있다.

최근의 지방소멸이란 말을 자주 접하게 된다.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생산인구 감소로 인해 인구절벽 문제가 심화되면서 앞으로 농어촌지역의 경우 존속이 어렵다고 한다. 우리지역도 청년이 갈수록 줄어 들고 있다.

청년이 없다는 건 지역이나 국가의 미래가 없다는 것과 같다. 청년을 등한시하면 최악의 결과가 기다릴 뿐이다.

그런 점에서 중앙정부의 출산·육아·보육·교육 등 가능한 범위에서 적극적인 투자가 절실하다. 지자체 또한 불필요한 예산을 줄여 청년들이 돌아와 생활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데 집중해야 한다.

결국 지자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청년정책에 대한 비중을 높여야 하고, 지자체의 정책도 실효성 있는 방향으로 변해야 한다.

현재 시행 중인 청년 내일 채움공제의 경우 목돈 마련과 장기근속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꽤 괜찮은 정책으로 보인다. 3년형의 경우 청년이 3년간 600만원을 적립하면 정부가 1800만원, 기업이 600만원을 공동으로 적립해 만기시 청년은 3000만원과 이에 따른 이자까지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 정책은 5인 이상 사업장에만 해당돼 2~3명이 일하는 농어촌지역 사업장은 그림의 떡이다.

현장과 괴리감을 좁히는 해남 실정에 맞는 청년 정책이 필요하다. 해남이 고향인 청년들이 해남에 보금자리를 마련할 수 있도록 보다 파격적이고 해남만의 청년 정책이 발굴·시행되어야 한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