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목현(광주광역시 민주인권평화국장)

 
 

현재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일단 코로나19 환자가 줄어들어 안정기에 돌입한 것처럼 보이지만 학생들이 등교하고, 다중 공간이 문을 열고 대중 집회가 시작되면 다시 범람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가시지 않은 상태다. 코로나19가 과연 언제 종식이 될지 모르는 상황이다.

현재 우리나라 농업은 인구 고령화, 인력과 농경지 감소, 생산 비중 감소 등의 어려움에 봉착해 있다. 해남군은 인구 7만으로 그 중 농업 인구가 2만, 수산업 인구가 1만으로 농·수 복합 도시라고 할 수 있다.

코로나19는 농업과 농촌사회도 직접적으로 타격을 주고 있다. 가장 먼저 대두되는 것은 농업 일손 부족이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세계 각국이 빗장을 잠그기 시작하자 의료대책이 무방비한 외국인 노동자들이 가장 먼저 자국으로 빠져 나가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가 농업노동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현실에서 그들이 없이 다른 대안을 찾기가 힘든 실정이다.

둘째는,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펼친 사회적 거리두기로 농산물 판매가 타격을 받았다. 먼저 화훼농가가 졸업·입학식 등 각종 행사 취소로 1차 타격을 받았다. 개학이 몇 달째 연기되면서 학교급식 납품 일정에 맞춰 채소·과일을 계약 재배한 농가가 극심한 피해를 보고 있다. 저장성이 낮은 채소는 납품 시기를 놓쳐 전량 폐기될 위기에 처했다. 학교급식 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친환경농산물과 달걀·우유 등 축산물도 직격탄을 맞았다. 이 외에도 다수가 모이는 농업교육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머지않아 백신 등 치료제 개발로 전 세계의 코로나19는 진정될 것이다. 그러나 코로나19가 사라진다고 해도 또 다른 세계적인 감염병은 언젠가 나타날 것이다. 또 다시 세계경제가 위축될 것이고 농촌사회와 농민은 위기에 내몰릴 것이다. 그러므로 농민과 농촌사회는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세계적인 감염병이나 위급한 재난 상황에도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미리 대비해야 한다.

먼저 인력이 필요 없는 농업, 스마트 농촌을 하루라도 빨리 구축해가야 한다. 정보통신기술(ICT), 바이오기술(BT), 녹색기술(GT)과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스마트 농업 체제로 전환해 인력난과 농지 감소,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 등의 문제를 해결해 가야 한다.

둘째로 농산물 유통을 오프라인 매장에서 온라인 판매방식으로 급속하게 전환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농업인들이 온라인 판매채널 구축에 더욱 많은 관심을 갖고 변화하는 사회에 대응해가야 한다.

셋째는 농촌교육도 대규모 교육에서 소규모 교육으로, 동시에 온라인 교육으로 시스템 자체를 변화시켜야 한다.

사회적 위기가 닥치면서 세계 각국에서 식료품 사재기와 식량 수출봉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국제적으로 식량안보가 대두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당장 우리나라에서도 사료의 원료인 외국산 옥수수나 밀가루를 수입할 수 없다면 축산 농가는 도산하고 말 것이다. 반면 외국산 농산물 수입이 제한되면 국내 농산물 가격 상승으로 농민들이 땀 흘린 대가를 충분히 보상받을 수 있다는 가정도 떠오른다.

코로나19의 세계적인 범람 국면에서 대한민국의 대처능력이 빛을 발하고 있다. 이는 우리 정부의 현명한 위기대처 능력 때문이기도 하지만 정부의 지침을 질서정연하게 따르는 국민들의 성숙한 시민의식 덕분이기도 한다. 이제 우리 해남도 코로나19 이후를 대비하는 새로운 농촌사회를 준비해나가야 할 때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