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푸드 직매장 내년에나 오픈
설계 및 인증, 공법 변경 늦어져

 
 

<편집자주> 생산자는 지속가능한 먹거리 생산을, 소비자는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선순환체계를 만드는 해남 2030 푸드플랜이 올해로 3년차에 접어들었다. 3년차이자 2030의 첫해인 올해 해남의 푸드플랜은 어디쯤 가고 있고 무엇이 필요한지 짚어본다.

 

 

 

▲ 내년에 개장하게 될 해남로컬푸드 직매장의 기본설계 조감도.
▲ 내년에 개장하게 될 해남로컬푸드 직매장의 기본설계 조감도.

문재인 정부의 혁신선도 과제 중 하나이자 국가와 지역내 먹거리 선순환을 구축하기 위한 푸드플랜은 전국 각지에서 추진되고 있다. 해남은 지난 2018년 농촌형 지역단위 푸드플랜 선도 지자체로 선정되면서 각 분야 및 단계별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해남이 추진하는 푸드플랜은 지난 2013년 진수성찬 힐링 스테이션부터였다. 농가교육과 로컬푸드 직매장 등이 추진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결국 사업추진은 지지부진한 상태가 이어졌다. 그러다 정부가 국가단위와 지역단위의 푸드플랜을 육성하기로 하면서 해남군이 농촌형 푸드플랜에 선정돼 사업도 급물살을 타며 빠르게 추진될 것으로 보였으나 연구용역에 1년, 로컬푸드 직매장 부지선정에 1년 등이 지나갔다.

푸드플랜 추진 부서에서는 부지문제가 해결되자 빠른 시일내에 직매장을 오픈하기 위해 절차를 서두르며 올해 하반기 이전에는 개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철골조에서 철근콘크리트로 공법이 변경됐고 기본설계 이후 전라남도의 경관심의를 치른 뒤 실시설계가 들어가야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해 늦어지고 있다.

군 관계자는 "설계를 진행하면서 유지보수와 안전성, 관리문제 등이 철골조보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돼 설계가 변경됐다"며 "2월말에 기본설계가 마무리됐으나 전라남도 경관심의가 지연되고 인증과 관련된 의무사항이 추가로 발생하면서 실시설계까지 늦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이 개정되면서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 의무사항이 추가로 발생하면서 설계 작업은 더 늦어지고 있다.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설계 과정과 현장 실사 등이 이뤄져야 하지만 코로나19로 인증 작업을 집행하지 못하고 있다.

▲ 해남농협 로컬푸드 직매장에 생산자가 상품을 살피고 있다.
▲ 해남농협 로컬푸드 직매장에 생산자가 상품을 살피고 있다.

군이 신축하는 로컬푸드 직매장은 3층 규모로 해남읍 구교리에 들어선다. 각종 심의와 인증이 빨라도 2달여가 소요될 것으로 보여 실시설계는 7월 이후에나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에는 공사 계약과 착공에 들어가면 최소 9개월여의 공사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돼 내년 하반기에나 개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로 생산자들의 교육과 컨설팅도 잠정 중단 상태이다. 당초 지난 2월부터 안대성 전 완주로컬푸드 협동조합 이사장과 이옥근 전 완주 온고을 공공학교급식지원센터장 등이 로컬푸드 생산기반 구축을 위해 생산자들을 교육하고 컨설팅이 이뤄질 계획이었으나 코로나19로 시작도 하지 못하고 있다.

군의 로컬푸드 직매장보다 앞서 지난해 11월 해남농협은 하나로마트내에 로컬푸드 직매장을 조성하고 운영하기 시작했다. 해남농협에 따르면 로컬푸드 직매장을 통해 일평균 250~300만원의 수익이 나오고 있다.

각종 생필품도 구입할 수 있는 하나로마트 내에 로컬푸드 직매장이 있어 함께 구입하는 소비자들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로컬푸드 직매장에 농산물을 납품하기 위해서는 관련 교육을 수료해야 하나 코로나19로 교육을 진행할 수 없어 농가의 참여가 어려운 상황이다.

군에서 조성하는 로컬푸드 직매장은 해남에서 생산된 농산물과 가공품 등이 판매된다. 소비자들이 마트를 선호하는 이유는 한 곳에서 필요한 것들을 구입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로 소비자들이 로컬푸드 직매장을 이용해야하는 이유와 필요성에 대한 홍보도 필요해 보인다.

공공급식지원센터 부지 확정 남아
푸드플랜 운영 재단법인 설립 추진

푸드플랜의 또 하나의 축인 공공급식지원센터는 사업 부지를 확정하는 일이 남아있다. 저온유통체계 구축 지원사업에 선정돼 3억6600만원의 예산이 세워져 있는 상황에서 사업 부지를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로컬푸드와 같이 부지 확정 과정에서 논란이 있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군은 군 소유 유휴부지에 저온유통시설을 조성할 계획이다. 군 소유가 아닌 부지는 추가로 부지매입비용이 소요되기에 부지를 구입하기보다 유휴부지를 활용한다는 것이다.

추가로 부지를 매입할 경우에는 군의회의 승인이 필요하나 유휴부지는 자체적으로 추진이 가능하다. 허나 앞으로의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서는 군의회에 해당 부지에 대한 설명과 함께 군의원들의 의견과 동의를 이끌어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군은 상반기 내에 부지를 확정하고 시설조성에 들어가 내년 초부터는 공공급식지원센터가 운영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공공급식지원센터가 운영을 시작하면 공공급식과 더불어 학교급식에서 차지하고 있는 친환경 식재료를 중점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기존에 급식 공급업체들과 경쟁관계가 아닌 생산자와 지원센터가 함께 상생할 수 있도록 조율해 나갈 계획이다"며 "공급업체가 친환경 식재료를 지원센터를 통해서 유통할 수 있는 구조도 논의되고 있다"고 말했다.

해남의 푸드플랜을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로컬푸드와 공공급식을 컨트롤 할 수 있는 운영주체가 필요하다. 군에서는 처음부터 공익성과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먹거리 관리조직으로 군이 출자한 재단법인 해남푸드통합지원센터를 만들어 운영을 맡길 계획이다. 재단법인은 로컬푸드 직매장과 공공급식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생산자들의 계획생산과 관리 등의 역할을 한다.

지난 1월 전라남도와 함께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 설립을 위한 협의 결과 로컬푸드와 공공급식은 공공성이 강해 재단법인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받았다. 재단법인 설립을 위해 해남군 출자출연기관 심의와 전남도 협의 등이 지속적으로 이뤄질 계획이다.

재단법인이 설립돼 운영되기 위해서는 운영에 관한 관련 조례가 제정돼야한다. 조례가 제정되면 재단법인 설립에 속도가 붙겠지만 발기인 구성, 정관·사업계획, 창립총회, 전남도의 재단법인 승인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해 내년 상반기에나 설립돼 운영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푸드플랜 지역내 공감 분위기 조성
먹거리 선순환의 의미 이해 필요해

푸드플랜이 성공적으로 지역내에 안착되기 위해서는 생산자와 소비자, 해남 군민들이 푸드플랜이 추구하는 먹거리 선순환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먹거리의 지속가능한 생산을 위해서는 생산자가 안정적인 소득을 얻어야한다. 안정적인 소득은 생산자가 먹거리 생산에 매진할 수 있도록해 소비자가 안전한 먹거리를 구입할 수 있다.

해남에서 생산되는 농수축산물 중 약 90%는 관외로 갔다가 유통과정을 거쳐 해남으로 돌아온다. 그 과정 속에서 유통마진이 붙으며 생산지인 해남에 살고 있는 소비자들은 더욱 비싼 가격에 식재료를 구입하는 결과로 나타난다.

한편에서는 농군인 해남은 자체적인 소비보다는 외부를 목표로 유통에 치중해야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허나 해남의 푸드플랜의 주요 목적은 지역내 먹거리 선순환 구축이다. 지역부터 시작해 외부로 점차 확장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생산자들의 계획생산과 생산기반 구축도 중요하지만 이를 소비할 수 있는 소비자와 군민들의 교육이 필요하다. 생산자들은 자신들의 필요에 의해 교육을 받지만 소비자들은 별도의 시간을 내면서 교육을 듣지 않는다.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의식을 바꿀 수 있는 교육과 홍보가 로컬푸드 직매장과 공공급식지원센터의 운영 이전부터 오랜 시간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