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기(해남문화원 이사)

 
 

근대사는 1910~1945년을 일제시대 강점기, 현대사는 1945년 이후 현재까지를 말한다. 먼저 근대사를 보면 35년 사이에 인구는 국외 진출자를 포함하여 약 3000만명으로 늘어 연평균 1.5%의 성장률을 나타냈다. 식민지 수탈로 살기가 힘들어진 조선인은 줄을 이어 한반도를 떠났고, 그 수는 대략 300만명에 달했다.

한반도 내 조선인의 인구 약 1/6 이상이 중국이나 일본에 살았던 디아스포라(배충진. 2019. 해남신문 '흩어져 살고 있는')의 경험과 이후의 귀향은 남북한의 체제 발전의 특징을 규정하는 중요한 역사적 계기가 되었다. 1930년대 일본인은 조선반도에 33만명이 서울에는 10만5639명이 살았다. 조선인 일본 유학생은 모두 784명, 항일투쟁·가정 사정 등으로 중도에 학업을 중단한 경우 등까지 합치면 모두 1000명이 넘는다. 그중 교토제대 출신 졸업생 339명의 인생 경로를 보면 일본 유학생 가운데 상당수는 친일 행위에 가담하거나 이를 방조한 집안의 자제들이었다.(정종현. 2019)

조선인을 위한 보통학교는 484개교, 학생수는 8만4000여명이나, 일본인을 위한 소학교는 393개교로, 4만2000여명의 학생이 재학하였다. 따라서 한일청산(淸算)이 어려웠을 것이다. 1930년대 일본인은 목포부에 2만6335명이 살고 있었고(조선총독부 통계), 해남은 서남권 지역으로 지리학적 인구를 검토하면, 목포부의 약 25%를 차지한 면적이지만 목포에서 일본인들이 많이 살아 해남에는 약 1만명이 살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강점기 동안 국내 인구이동은 첫째, 남부에서 북부 지방으로 둘째, 농촌에서 도시로 이동하였다. 다음은 현대사의 인구학을 보면, 광복 당시 남한의 인구는 1614만명이었다. 광복 이후 1945~'49년 사이 일본, 만주 및 이북으로부터의 귀환이동자 총수는 추정방법에 따라 약 210~250만명에 달하며, 이는 '49년 당시 인구의 10~12%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인구의 연평균 증가율을 보면, 1945~'50년의 기간에 6.1%로 역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45년 평균수명은 45세, 2018년 81세다.

한편 북한주민은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북한의 인구는 2501만명으로 남한 5145만명의 1/2 수준이다. 농업적인 측면을 보면, 일제가 1910년에서 '18년에 걸쳐 토지조사를 시행한 결과 전체 인구 80%가 농민인데 그 중 77%가 전혀 토지가 없는 소작농이거나 토지가 부족한 자작겸 소작농이 되었다.(김철. '65) 또한 1935~'36년 이어진 대수해(大水害)는 농민을 위기상황에 내몰았다. 만주로 이주한 조선인이 대부분 새로운 농지를 찾아 이주한 것과는 달리 일본으로 이주한 조선인은 일본 공업부문 노동시장의 잠재적 노동자 군(群)으로 흡수해갔다.

우리나라의 '90년 농가 인구수는 666만명(총 인구의 15.5%), 2013년 285만명(총 인구의 5.7%)으로 연평균 5.6% 감소하였다. 일본 농가인구는 지난 20여년간 1/3 수준으로 줄었고, '90년~2000년까지 농업 집락(들녘경영체)도 절반인 2555개가 사라졌다.

해남군 최대인구는 '66년 23만명에서 현재 7만2000여명, 제일 감소한 해는 '70년에 한해(旱害)로 약 2만명이 먹고 살기 위해 해남을 떠났다. 전국 면(面)단위 중에서 가장 넓은 산이면 농경지가 약 6000ha인데, 해남군에서 제일 많이 지난 10년 동안 인구 23%나 감소하였다.

필자가 살고 있는 상공리 마을은 67세대 중 65세가 넘는 가구주가 55세대로 80%를 넘어 초한계(超限界) 마을이다. 해남군의 경우 출산장려금 179억원을 썼는데 아이들 1700명이 해남을 떠났다.(중앙일보. 2019. 3.13.) 이것이 해남인구의 현주소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