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푸드란 특정 지역에서 재배된 농수특산물 등 먹을거리가 생산지로부터 밥상까지 이동하는 물리적 거리를 줄이고 생산자와 소비자의 관계도 익명성에서 벗어나 서로 관계 맺기를 통해 밥상 안전을 지키자는 운동이다. 생산자에게는 판로를 제공해 안정적인 소득 기반을 마련해주고 소비자는 지역에서 생산된 믿을 수 있는 먹을거리를 확보하며 지역내 경제발전에도 기여하자는 사회적 움직임이다.

해남에서 생산된 농수산물은 대부분 공판장으로 판매된다. 공판장에서 거래된 농산물은 도매상과 소매상 등을 거쳐 다시 해남으로 들어온다. 이 같은 복잡한 유통과정은 농산물의 신선도뿐만 아니라 유통비에 대한 부담만 올라가게 된다.

이렇다보니 지역내에서 로컬푸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본지는 지난 2014년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로컬푸드 농군 해남의 미래'란 주제로 7회에 걸쳐 전북 완주군, 충남 홍성군, 전남 곡성군을 비롯해 일본의 사례를 기획보도하기도 했다. 지역별로 차이는 있겠지만 물량이 적고 유통비에 대한 부담으로 공판장으로 판매하기 어려운 소농들과 이들과 연계한 가공식품 판매에는 효과가 컸었다. 사실상 농군인 해남군은 로컬푸드에 있어서는 후발주자다.

로컬푸드직매장은 판로에 어려움을 겪는 농가를 위한 정책이다.

로컬푸드는 단순히 직매장 건립에서 끝나지 않는다. 군내 각 학교들의 학교급식과 공공시설의 공공급식 등 단체급식 유통체제도 갖춰야 하고 사실상 로컬푸드를 넘어 농산물을 생산하지 않는 서울시 등 대도시로의 공급으로까지 넓혀나가야 한다. 때문에 군이 추진하는 사업도 로컬푸드가 아닌 푸드플랜이란 이름을 지니고 있다.

수년간의 준비를 거쳐 푸드플랜이란 큰 틀의 가시적 결과물이자 첫발인 로컬푸드직매장 건립이 추진됐지만 해남군의회에서 부결되는 사태를 맞았다. 부결사태는 아직까지도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6월 열렸던 임시회에서 부결에 찬성했던 일부 의원들은 현재 열리고 있는 8월 임시회가 있으니 그때까지 다른 부지를 찾아보자는 차원에서 당시에는 반대했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군은 다른 부지를 찾아봤지만 결국 지난 6월 임시회에서 부결됐던 부지로 이번 임시회에 안건을 재상정했다. 로컬푸드직매장 건립을 위한 공유재산관리계획안은 지난 22일 열린 군의회 총무위원회는 3대2로 통과했다. 오는 26일 열리는 본회의 의결만 남았다.

한번 부결시켰던 안건을 재심의하는 것은 의원들에게 부담이 될 것이다. 하지만 오는 26일 내릴 결정이 향후 해남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고심해보길 바란다. 당이나 동료의원 눈치 보기가 아닌 주민의 대표로서 의원 각자의 판단에 따라야 할 사안이다.

이번 임시회에서 로컬푸드직매장 안건이 통과될지 여부에 주민들의 눈과 귀가 쏠려있다. 의원으로서 안건의 통과 여부를 결정짓는 권한을 갖고 있는 만큼 책임 또한 따른다는 것을 명심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