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징용 노동자 고한노동에 종사
차별과 배제 속에서 일본사회 정착

 
 

|싣는 순서|

① 한민족과 디아스포라
② 재일코리언의 역사
③ 재일코리언의 현실 Ⅰ(오사카 코리아타운)
④ 재일코리언의 현실 Ⅱ(교토 우토로마을)
⑤ 재일코리언 마이너리티로서의 정체성
⑥ 차별과 동화 압력을 넘어 미래로
⑦ 다양성과 관용 가치실현을 위한 지역의 과제

 

 

 

 

▲ 일본 오사카에 재일조선인들이 집단거주하게 된 것은 1910~20년대 비만 오면 범람하던 오사카 서북쪽을 구불구불 흐르던 히라노 강의 범람을 막기 위해 물길을 곧게 펴고 둑을 높이는 공사에 조선인 노동자들을 대거 투입하면서 히라노강 주변 저습지대를 중심으로 조선인 집단주거지와 조선시장이 형성되었다.
▲ 일본 오사카에 재일조선인들이 집단거주하게 된 것은 1910~20년대 비만 오면 범람하던 오사카 서북쪽을 구불구불 흐르던 히라노 강의 범람을 막기 위해 물길을 곧게 펴고 둑을 높이는 공사에 조선인 노동자들을 대거 투입하면서 히라노강 주변 저습지대를 중심으로 조선인 집단주거지와 조선시장이 형성되었다.

- 재일코리언은 누구인가

일본에 살고 있는 한반도 출신과 그의 자손들은 '재일코리언', '재일한국조선인', '재일한국인', '재일조선인'등 여러 가지로 불리고 있다. 같은 민족임에도 해방 후 남북분단 상황에 따라 통일된 호칭을 가지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일반적으로 1965년 한일기본조약 체결 전에는 '재일조선인'으로 불렸다. 최근 일본에서는 한반도 출신자를 재일동포·재일교포나 자이니찌(在日)로 부르지만, 재일코리언인 서경식 교수와 같은 경우는 '일본인은 아니지만 일본에 사는 사람'정도의 의미이기 때문에 왜 이들이 일본에 살게 되었는가라는 역사가 빠져있어 '재일조선인, 조선사람'으로 표기해야 한다는 원칙을 지키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는 국적에 관계 없이 한반도에 뿌리를 두고 있는 사람을 가리키는 '재일코리언'이라는 호칭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 재일코리언의 특징

한반도와 일본 열도 사이에는 고대부터 많은 교류가 있었다. 고대 일본에는 한반도로부터 도래인(渡來人)이라 불리우는 사람들이 건너와 한자·불교·유교 등의 문화와 제철법과 벼 재배등의 기술을 전수하고 일본에 정착한 사람도 많았다. 재일코리언 수는 해외동포 중 중국, 미국에 이어 세번째로 많다.

재일코리언의 특징은 첫째, 피식민지주민의 신분으로 이주하여 거주국사회에 적응하였고, 주재국으로 귀화한 사람이 많음에도 일본사회에 완전한 통합이 매우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는 점이다. 한일간의 특수한 역사나 상황 때문에 복잡한 자기정체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둘째, 배타적 민족주의가 매우 강한 일본사회 차별과 배제 속에서 정착해 지금도 혐한이나 헤이트스피치와 같은 일상화된 차별에 살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한반도 남북분단이라는 정치적 상황에 의해 재일코리언 사회가 분열되어 있다는 점도 다른 해외 동포사회와는 구분되는 특징이다.

- 재일코리언의 이주시기

재일코리언 1세대의 이주 시기는 크게 1단계(1910~1920), 2단계(1921~1930), 3단계(1931~1938), 4단계(1939~1945)로 나누어 볼수 있다.

1909년경 일본 내 조선인은 790명으로 유학생이나 외교관, 정치적 망명자가 주를 이루었다. 1910년 이전에는 일본이 외국인 노동자를 금지했기 때문에 조선인 노동자 유입은 제한적이었다.

일본은 1910년 한국을 식민지화 한 후 토지조사 사업을 통한 토지 수탈작업에 착수했다. 토지조사사업(1910. 3~1918. 11)으로 인해 토지를 빼앗기고 도시 빈민층이나 산간벽지 화전민 또는 살길을 찾아 해외로 이주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일본공산품 수입으로 수공업자와 상인이 몰락해 가는 시기였다. 1914년 1차 세계대전 발발로 인한 경제 활황으로 일본 국내 노동력이 부족하자 저임금 조선인 노동자를 모집함으로써 노동력 이동이 발생해 1920년대 말 일본 내 조선인은 3만175명으로 늘어났다.

제2단계(1921~1930년) 일본은 국내 쌀값을 안정시키기 위한 '산미증산계획'을 통해 조선농업을 지배했다. 경상도·제주도·전라도 출신들을 중심으로 사회적 연결망을 통해 일본행이 이뤄지면서 같은 지역 출신이 일본에서도 동일지역 동일산업에 집중되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교토·오사카·고베 공업지역과 후쿠오카 탄광지역의 저임금·3D 업종에 종사하였고, 재일 조선인들은 주택 임대의 어려움 때문에 소유자가 불분명한 습지·저지대·하천 부지 등에 집단 거주지를 형성하면서 도시하층민으로 일본사회에 편입되어 갔다.

제3단계(1931~1938년) 일본 농업이 붕괴되면서 산미증산계획을 접고 남면북양정책으로 선회했다. 1931년 만주사변, 1937년 중일전쟁으로 전선 확대에 따른 병력과 전시 산업체제를 유지할 노동력 확보가 절실했다.

특히 일본인이 싫어하는 과격하고 위험한 탄광 및 광산의 지하노동과 토건업(土建業)분야에서 육체 노동력은 심각하게 부족했다.

1938년 4월 일본이 국가총동원법을 제정하면서 1931년 31만 8212명이었던 재일조선인 수는 1938년 80여만 명으로 급격히 늘어났다. 재일조선인은 본국에서는 대부분이 농민이었지만, 일본에서는 저임금 육체 노동에 종사했다.

노동자 중에서도 일본인들이 꺼리는 3D 업종에 종사하는 잡역이나 날품팔이 비율이 60%를 넘었고, 임금 역시 일본 노동자의 절반 혹은 2/3 수준에 불과했다. 재일조선인들은 언어와 직업상의 핸디캡으로 인해 주거환경이 좋지 않은 도시 주변부에 집중되어 빈민가를 형성했고 이는 민족차별의 물적근거로 작용했으며, 자연스럽게 노동운동과 사회주의 사상이 결합된 대중운동이 활발해졌다.

제4단계(1939~1945년)시기는 강제징용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시기로 1939년 7월 노동력 동원계획이 발표되면서 한국 본토로부터 한국인을 초기에는 모집과 관알선 방식과 1944년 9월부터 패전 시까지 국민동원령에 의한 강제징용을 통해 노동력 부족을 보충했다.

1936년부터 1945년까지 강제연행된 노동자는 66만7684명으로 탄광(31만8546명), 토건업(10만7327명), 금속산업(7만5749명), 기타 산업에 주로 종사했다. <그래프 2>

▲ 강제징용된 한국인 노동자들은 대부분이 육체노동에 종사했으며 좋지 않은 노동 조건 아래에서 장시간 혹사 당하는 반노예적인 노동에 시달렸다.
▲ 강제징용된 한국인 노동자들은 대부분이 육체노동에 종사했으며 좋지 않은 노동 조건 아래에서 장시간 혹사 당하는 반노예적인 노동에 시달렸다.

- 해방 후 귀국과 잔류 갈림길

해방 직전인 1945년 5월 재일조선인은 210만여명에 달했고, 일본이 패전한 후 1945년 8월부터 1946년 3월 사이에 약 140만명이 귀국했다.

1946년 3월 연합군사령부(GHQ)일본 후생성이 실시한 한국인 등록은 64만7천명으로 이중 귀국 희망자는 80%에 이르렀지만, 남북 분단과 98% 이상의 출신 지역이었던 남한의 정치사회적 혼란으로 인해 귀국자 수가 줄어들게 되었다.

귀국을 포기하고 일본에서 이방인으로서 소수자의 삶을 살기로 작정한 재일조선인의 주된 잔류 사유는 경제적 사정과 한국의 정치적 상황 때문이었다.

당시 일본 정부는 조선인 귀환자가 소지할 수 있는 금액을 1000엔으로 제한했기 때문에 일본에서 어느 정도 자리잡고 경제적 기반을 마련한 사람은 재산을 포기하고 한국으로 돌아가기 어려웠고 한국 정치상황이 매우 불안정 했기 때문에 한국으로 귀환했을 때 피해를 입을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작용했다.

한국전쟁이 발발한 1950년 당시 재일조선인 수는 54만4903명으로 이들이 오늘날 재일코리언 사회의 출발이라고 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 식민통치와 노동력 확보를 위한 강제징용에 오늘날 재일코리언 문제의 뿌리가 있다.

재일코리언들은 일본인, 일본인이지만 일본사람들로부터 차별받았던 부락민(部落民), 중국인에 이어 4류 취급을 받았다. 민족적 차별과 멸시 를 극복하고 꿋꿋하게 살아남아 일본에서 재일코리언 사회를 구축했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