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사 근처 야채가게에서는 다양한 품목을 취급한다. 대부분 농산물이 사입(仕入)되어져 오는 곳은 광주공판장이다. 해남에서 생산되는 부추나 배추같은 농산품도 일단은 광주로 올라갔다 다시 해남으로 내려온다.

로컬푸드는 이보다 더욱 확장된 전 지구적인 먹거리 체계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내가 먹는 것이 어디에서 어떤 경로를 거쳐 왔는지 알지 못하고 소비하면서 거대 기업주도 식품체계에 의해 농업이 어떻게 왜곡되고 위기에 처해 가는지 알지 못한다.

로컬푸드와 비슷한 개념인 지산지소(地産地消)는 지역 농산물을 지역에서 소비하는 먹거리 체계를 구축하자는 운동이다. 농산물 이동거리가 짧은 만큼 유통비용이 감소하고 에너지의 절약으로 환경부하를 감소시키며 농산물의 신선도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유통거품이 빠진 합리적 가격에 생산자가 당일 수확한 건강한 농산물을 구입할 수 있고 생산자에게는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가격과 판로가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서 한발 더 나아가 푸드플랜(Food Plan)은 지역의 다양한 주체들이 협치(거버넌스)를 통하여 생산에서 유통과 가공단계를 거쳐 소비되고 폐기되는 과정을 농업과 지속가능성을 높여가기 위한 선순환체계를 구축하자는 것이다.

해남군 푸드플랜의 핵심수행기관인 해남푸드통합지원센터 운영주체를 두고 지역사회의 관심이 높다. 센터와 로컬푸드 직매장을 유통개념으로만 이해하면 판매장을 설치하고 운영경비와 인건비를 보전하기위해 일정액의 매출 달성이 필요해진다. 품목 구색을 맞추기 위해 지역에서 생산되지 않는 농산물과 가공품 사입이 필요불가결하게 된다.

해남푸드통합지원센터의 운영방식과 주체 선정을 위해서는 아래 몇 가지 원칙을 누가 더 잘 견지하고 수행할 수 있는가가 판단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

첫째, 지역생산 농산물과 안전한 농산물만을 취급한다는 가치와 철학에 충실해야 한다. 생산자와 소비간 거리를 줄이고, 익명이 아닌 실명생산자가 생산한 농산물 판매를 원칙으로 하며 농산물 포장, 가격결정, 매장진열 등을 농민이 직접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누가 농민을 대상화 하지 않고 주체로 설수 있게 할 수 있겠는가가 중요하다.

둘째, 운영을 위해서는 다양한 품목과 수량에 대응할 수 있는 생산자 조직화와 관리 실무능력강화가 필요하다. 소농과 고령농 그리고 더 나아가 장애인복지나 지역자활센터와 같은 시설과 단체를 포함한 중소영세농 소득증대와 더 나아가일의 보람으로 이어져야 한다. 농촌경제 활성화와 농촌사회 강화, 식생활과 보건 증진, 지역사회 환경 보호라는 과업을 누가 잘 수행할 수 있겠는가.

셋째, 행정부서간 그리고 행정과 민간의 칸막이를 극복하고 주민주도 중간지원 조직을 육성하여 농민들의 협동과 참여 및 자치, 더 나아가 소비자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가이다.

로컬푸드나 푸드플랜을 유통사업 정도로 이해하고 계열화나 산지유통센터 수준에 머무르게 되는 우를 범하지 않기 바란다. 누가 지역 소농들이 소외되거나 배제되지 않도록 촘촘한 연계망을 구성하고 더디더라도 함께 같이 합의된 목표를 향해 제대로 오래 갈 수 있는지를 세심하게 판단해야 한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