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준사격·암매장 등은 여전히 미궁
직권조사 요청, 역사교육 확대 필요

5·18민중항쟁 39주년이 다가오고 있지만 해남에서의 5·18민중항쟁을 둘러싼 진실규명과 명예회복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해결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본지가 지난해 5월부터 7월까지 '나는 말하고 싶다-해남의 또 다른 아픈 역사'를 주제로 7차례에 걸친 기획보도를 통해 해남 5·18문제를 재조명하면서 지난해 광주KBS와 최근 MBC피디수첩이 이 문제를 다루며 해남 5·18문제가 널리 알려진 상태여서 이 기회를 계기로 진실규명에 대한 문제 해결에 힘을 모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해남에서의 5·18민중항쟁은 80년 당시 5월 21일~23일 3일간의 역사로 이뤄지는데 증언자들에 따라 약간 차이는 있지만 22일 밤부터 23일 새벽까지 우슬재와 상등리 부근에서 공수부대가 아닌 향토사단에 의해 군인들이 투항하는 시위대를 향해 무차별 발포와 조준사격을 해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군과 정부는 이로 인해 2명이 사망했다고 인정하고 있고 당시 우발적 총격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당시 피해자들과 증언자들은 7명 이상이 죽었고 조준사격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당시 피해자들과 증언자들은 우슬재와 상등리에서 시신을 수습했고 옷에 피가 많이 묻어있어 군부대에서 지급해준 군복으로 갈아입힌 뒤 나중에 군부대 뒤에 암매장했고 역시 암매장 된 희생자가 7명 이상으로 주장하고 있는 반면 군과 정부는 암매장은 없다고 밝히고 있다.

이에 따라 당시 발포명령자가 누구인지, 사망자가 몇 명인지, 암매장이 있었는지에 대한 진실규명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최초 증언을 했던 당사자들이 나이가 들면서 숨지거나 증언을 거부하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에는 당시 암매장에 참여했다는 방위병이 MBC피디수첩에 추가 증언을 하고 나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따라서 자유한국당의 어처구니없는 역사인식으로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 구성과 활동이 계속 늦춰지고 있지만 활동에 들어갈 경우 해남 5·18문제에 대해 우선적으로 직권조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지역 내 여론을 모을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5·18기념재단 관계자는 "진상규명조사위원회 활동과 별개로 현재 기념재단 차원에서 해남을 비롯한 전남에서의 5·18문제에 대한 진상규명을 위해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해남 5·18에 대한 역사교육에 대한 필요성도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해남5·18민중항쟁 동지회 김병일 회장은 올해 해남군과 전라남도의 예산을 지원받아 오는 15일 해남고 학생들, 16일 해남공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립 5·18묘지와 상무대 영창, 해남 5·18사적지를 둘러보는 5·18역사 현장 순례에 나설 계획이다.

김 회장은 "해남 5·18에 대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이 하루 빨리 이뤄질 수 있도록 지역사회가 관심을 가져달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