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유통 변화 발맞춰 개선 필요
당면한 문제에서 해결책 찾아야

▲ 김장철이 시작되고 해남의 김장배추가 수확을 시작하면 절임배추 농가들은 눈코 뜰새없이 바쁘다. 소비자의 절임배추 선호도는 증가하는데 해남의 절인배추 산업은 정체하고 있어 새로운 도약을 위해서는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 김장철이 시작되고 해남의 김장배추가 수확을 시작하면 절임배추 농가들은 눈코 뜰새없이 바쁘다. 소비자의 절임배추 선호도는 증가하는데 해남의 절인배추 산업은 정체하고 있어 새로운 도약을 위해서는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편집자주> 배추 주산지인 해남에서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확산됐던 절임배추매출이 정체되고 있어 새로운 도약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점검해본다. 절임배추 가공을 넘어 김치 산업까지 주도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해남의 절임배추 산업이 지난 2015년까지 증가하다 최근 몇 년간 정체하고 있어 배추 주산지의 이점을 살린 절임배추와 나아가 김치 시장까지 주도할 수 있는 대책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군에 따르면 해남의 절임배추 매출액은 지난 2010년 390억원에서 2012년 451억, 2015년에는 530억원까지 증가했으나 이를 기점으로 지난해에도 531억원의 매출액을 보여 정체된 상황에 놓여있고 절임배추 생산농가는 지난해 963농가에서 941농가로 22농가가 감소했다.

해남 절임배추 산업이 정체하는 과정에서 변화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첫째 유통상인들의 시장장악력 증가, 둘째 절임배추 품질문제, 셋째 배추생산시기 조절의 어려움 등이 주요원인으로 파악된다.

첫째, 생산농가는 줄어들었으나 매출액이 유지되는 것은 유통상인들이 등장하며 농가에서 생산한 절임배추를 유통상인과 계약 맺고 판매하는 구조가 자리 잡아 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대규모로 절임배추를 생산해 판매하는 업체는 소비처에 따라 물량을 출하하지만 소규모농가들은 생산량의 한계가 있어 대형 소비처보다 일반 소비자들과 직거래해 판매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절임배추 생산에 매달리기에도 바쁜 시간에 소비자를 확보하고 관리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어 유통업자들과 계약하는 농가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유통상인들의 등장으로 절임배추의 품질이 저하되고 저가 판매되면서 소규모 농가들의 가격설정과 판매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한 절임배추 농가는 "대량으로 판매하면서 가격을 점차 낮추면 가격경쟁력에서 밀려 판매량이 떨어지기 때문에 우리들도 그에 따라 가격을 낮출 수밖에 없다"며 "일부 농가에서는 절임배추를 납품하고도 대금을 못 받는 일이 생기면서 2차 피해도 발생하고 있어 유통상인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절임배추를 납품하고 대금을 받지 못하거나 입금이 늦어지는 일이 발생해 법적분쟁까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생산농가들이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계약서 작성이 필요하지만 기존 농산물 밭떼기 거래와 같이 구두계약을 맺는 경우가 많이 이를 주의해야한다.

규모별 매출액도 심한 차이를 보인다. 절임배추 업체 및 농가 중 매출액 2000만원 미만이 전체 중 43%인 497개 업체 및 농가였고 이들은 전체 매출액 중 10%에 미치지 못하는 52억원의 매출액을 보였다. 3억원 이상의 매출액을 보이는 대형업체는 21개소로 203억원을 차지했다.

둘째, 소규모 농가의 경우 하우스 등 노지에서 생산해 위생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절임배추가 사업자에 따라 농산물과 절임식품류로 분류되어 판매되고 있지만 이를 절임식품으로 통합해 관리하자는 주장은 매년 나오고 있다. 절임식품으로 통일될 경우 대장균 등의 미생물 기준과 규격을 준수해야해 시설개선이 필요하다. 소규모 농가의 경우 시설개선을 위한 자본이 부족할뿐더러 김장철에만 절임배추를 생산하기에 시설투자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셋째, 최대 소비처인 수도권의 김장시즌이 해남의 김장배추 생산 시기보다 빨라 이를 맞추기 위해 완숙되지 않은 배추로 절임을 하거나 원산지를 위반해 타지역에서 생산된 제품을 해남산 절임배추로 속여 판매하는 일도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김장시즌은 10월 말부터 수도권에서 시작해 점차 남부지역으로 내려오는 구조다. 해남의 김장배추가 완숙하기 위해서는 적기 정식시기에 심어 11월 중순경에 수확한 것이 가장 맛있고 품질도 좋지만 일부에서는 김장시기에 맞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정식시기와 수확시기를 앞당겨 판매하고 있다.

절임배추에서 김치까지 시야 넓혀야
생산부터 판매까지 관리 강화 필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김치를 직접 담그는 가구의 비율은 전년도에 비해 소폭 줄은 64.9%였다. 직접 김치를 담그는 가구의 53%는 절임배추를 구매하고 있다. 이와는 별개로 시판김치를 구입하겠다는 소비자는 증가하고 있다. 지난 2004년에 8%였던 비율이 2017년에는 13.1%에서 지난해에는 15.8%로 늘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1~2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김장을 직접 하는 가정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소비트랜드는 배추에서 절임배추로, 다시 김치로 달라지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농림축산식품부는 국산김치의 품질 경쟁력을 높여 수입확대에 대응하고 국산김치의 시장을 넓혀가기 위한 김치산업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육성방안을 살펴보면 품질·안전 차별화, 내수시장 확대 및 신시장 개척, 김치 유통관리 강화, 김치원료의 안정적 공급 및 원가절감, 김치 수출 확대 및 홍보 강화 등을 목표로 추진된다.

앞으로의 해남절임배추 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첫째 유통상인에 대한 검증, 둘째 생산자조직화, 셋째 절임배추 생산농가에 대한 지원체계 구축 등이 이뤄져야한다.

첫째, 유통상인의 등장이 부작용만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출하를 원할히 할 수 있는 검증된 유통상인은 지역에 도움을 준다. 절임배추 유통에 적합한 능력을 가진 유통상인과 지역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필요하다.

둘째, 대형업체들에 비해 시설과 규모에서부터 부족한 소규모 농가들이 하나로 뭉쳐 생산부터 판매까지 함께할 수 있는 조직화가 필요하다. 작업장을 개인별로 조성하기보다는 생산자조직을 만들어 공동생산 및 판매를 통해 기반조성과 생산비를 동시에 줄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절임배추 생산농가가 앞으로 무엇을 대비해야하고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 생각해봐야한다. 김장을 담그기 위해서 배추보다 절임배추를 더 선호하고 핵가족을 넘어 1~2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시판김치의 구입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해남의 절임배추 산업 정체에서 안주하지 말고 김치로 눈을 돌려 변화되는 소비트랜드에 발 빠르게 대응해야한다. 해남이 김치의 가장 중요한 원재료인 배추 주산지로서 농산물 단순판매에 벗어나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방안이 마련돼 새로운 소비시장을 개척해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국내산 농산물로 김치 담그기 캠페인 갖자"

 

 
 

군의회 이성옥 의원 5분 발언에서
농산물 폐기, 농업·농촌 흔들어

해남배추 소비촉진을 위해 국내산 농산물로 김치 담그기 캠페인을 펼치자는 제안이 제기됐다.

해남군의회 이성옥 의원은 지난 19일 열린 제291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갖고 수입산 김치의 국내시장 잠식으로 위협받고 있는 해남군의 농업과 농촌을 지키기 위한 방안으로 이 같은 주장을 펼쳤다.

이 의원은 "해남은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돼 농사짓는 젊은이를 찾아보기 어렵고 치솟는 경영비용과 기상이변으로 힘들게 농사를 지었지만 헐값에 농산물을 팔거나 폐기처분해야 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며 "이는 국민들의 식생활이 바뀌고 수입김치가 대량 유통되고 있어 우리 농산물의 판로가 막히고 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이어 "해남군의 배추생산량은 가을배추 24만톤, 겨울배추 19만톤 등 43만톤이지만 수입 김치가 27만톤에 달하고 특히 우리나라 식당 절반 이상이 수입 김치를 사용하며 계속 증가 추세에 있어 배추 뿐만 아니라 대파, 고추, 마을 같은 양념 채소류 소비마저 줄어들고 있다"며 "농민들이 가격 폭락 걱정 없이 농사짓고 젊은이들이 농업에서 희망을 찾고 농촌에 정착할 수 있도록 해남군의회와 공직자가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의원은 "식당에서 국내산 농산물로 만든 김치를 사용하도록 하는 캠페인을 펼치고 공직자들과 공공기관 임직원들이 수입 김치를 제공하는 식당 이용을 자제하고 국산 김치를 쓰는 식당을 즐겨 찾는다면 자연스럽게 수입 김치가 설 자리가 줄어들 것이다"며 "음식의 원산지를 반드시 확인하고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을 비롯한 관계기관은 철저히 단속하는 것이 우리 농업을 살리고 올바른 소비를 실천해 나가는 것이다"고 주장했다.

노영수 기자 5536@hnews.co.kr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