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자존과 독립을 외치며 100년 펼쳐진 3·1운동은 민족역사에 커다란 변곡점이었다. 3·1운동은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원동력이 되었고 중국 5·4운동 등 세계사에 영향을 미쳤다.

일본은 강제로 맺은 을사늑약 이후 강력한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나 3·1운동 저항으로 한계에 달하자 문화통치로 방향을 선회했다.

민심동향을 파악하고 조선인들의 저항의식을 무디게 하기 위해 민간신문 창간을 허락하게 되면서 1920년 시사신문, 조선일보, 동아일보가 창간되었다.

극우적 성격의 친일단체인 국민협회 기관지였던 시사신문을 제외한다면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같은 해인 1920년에 한달 사이에 창간되면서 태생부터 라이벌 성격을 가졌다.

조선일보 창간주체인 대정실업친목회는 친일단체로 일본거주 유력자와 조선부호들 친목단체였고, 동아일보 창간주체는 민족개량주의자인 김성수와 일본 문화통치에 순응하는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1920년대 중반 민족사회주의 계열 언론인들이 재직하던 시기 반일논조 기사나 사설로 4차례나 정간을 당했던 조선일보는 금광개발로 부를 축적한 방응모가 독자적으로 거액을 투자한 1933년 이후부터 1937년 중일전쟁 발발을 전후로 친일이 도를 더해갔다.

조선일보는 1937년 1월 1일 신년호 1면 지면에 히로히토 (裕仁)일왕부부 사진을 게재했다. 이후로 계속 신년호 1면에 일왕부부 사진을 크게 싣고, 1940년 지면에서는 아예 조선일보 제호를 밑으로 내리고 그 위에 일장기를 내거는 등 내선일체(內鮮一體)에 적극 동조하며 일제 침략전쟁에 조선청년들을 동원하는데 앞장섰다.

1940년 8월 11일에 폐간에 이른 조선일보의 폐간 이유는 항일운동 결과가 아닌 일제 총동원 전략차원 물자절약과 조선어를 고사시키기 위한 정책에 협조한 결과물이었다. 조선일보는 폐간 이후에는 '조광' 이라는 잡지를 통해 일제 식민정책을 찬양하고 옹호하는 노선을 이어갔다. 1930년대 중반 조선·동아 두 신문은 기생관광을 통해 일본인 광고주 유치 경쟁을 벌이기도 했다. 시기와 정도 차이가 있을 뿐이지 동아일보 역시 조선일보가 걸어간 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해방 이후 기득권자로 지위를 누려온 두 신문은 1985년 누가 민족지이고, 누가 친일지인가 대한 상호비방과 이전투구를 지면을 통해 벌이다 서로의 치부가 드러나자 서둘러 봉합을 한 적이 있다.

내년 창간 100주년을 맞이하는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그동안 민족신문이며 정론을 펼치는 신문이라고 자화자찬 해왔다. 그러나 2018년(2017년도분)ABC공사 자료는 조선일보 발행부수 145만8천부(유료 123만 8천부), 동아일보 95만9천부(유료73만 6천부)로 2011년(2010년도분) 조선일보 발행부수 179만 9천부(유료 135만 3천부), 동아일보 119만 8천부 (유료 74만 9천부)로 쇠락의 길에 들어서고 있음을 보여준다.

공보다 과가 두드러져 보이고 오욕과 굴종으로 점철된 씻을 수 없는 친일의 역사적 과오와 해방이후 걸어온 독재찬양의 길은 3·1정신에 벗어나도 한참 벗어나 있다. 철저한 자기반성과 각고의 성찰을 통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한다면 이들의 새로운 100년은 기대하기 난망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