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에 청년이 없다는 아우성은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일자리, 혹은 주택과 교육 환경 등을 해결하고자 청년들은 수도권으로 향한다. 해남뿐만 아니라 전남지역 인근이 비슷한 상황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연간 국내인구이동 결과'에 따르면 전남지역의 순이동률 비율은 -0.4%다. 유입된 인구보다 유출된 인구가 많다는 의미인데 17개 광역시·도 지역별 순위로 따지자면 4위이다. 순이동률이 증가한 지역은 세종, 제주, 경기, 충남·충북 등 5곳 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20대 청년층 순유출 비율을 따지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전남지역의 20대 이동자 수는 8000여명, 이동률로는 -3.9%로 나타났다. 수도권이나 광역시를 제외한 지역에서는 전남지역과 마찬가지로 20대 이동률이 높아 전북 -4.3%, 강원도 -3.9%, 경북 -3.2% 등으로 조사됐다. 반면 정부청사가 이동한 세종시는 14.1%의 이동률을 보였고 서울 2.7%, 경기 1.5% 등으로 나타나 20대 청년 이동이 '일자리'와 가장 큰 연관을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정부는 지방 소멸 위기를 극복할 대안으로 지방분권을 핵심 국정 과제로 추진 중이다. 지역 공공기관에 '지역인재 채용 목표제' 등을 도입해 의무 채용을 확대한다는 방침이지만, 단순히 공공기관의 일자리의 수를 늘리는 것만으로는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애초에 도심권과 비교해 공공기관의 수나 규모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전라남도에서는 외지 청년을 유입하고자 전남에서 살아볼 기회를 제공해 지역 정착을 유도한다는 청년행복캠프(30days) 정책을 각 시·군에 오는 3월까지 공모를 신청 받고 있다. 일정 기간 동안 주거와 생활공간, 지역체험 및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 전남지역을 알아가고 가능성을 찾아 정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지역의 유휴공간을 청년주거·공유공간으로 조성하고 활용해 청년 유입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해남지역에서도 청년기본계획을 수립 중에 있고 지난 15일에는 청년들의 취업지원 시스템을 마련코자 청년 일자리카페를 해남YMCA 1층과 하자카페 일부 공간에 마련했다. 하지만 지역 청년들의 반응은 미적지근하다. 단순한 취업 상담으로는 구직활동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데다 해남군내에 청년들이 일할 수 있는 일자리가 적은 것이 청년 인구 유출에 문제가 되는데 이런 부분에 대한 논의가 없다는 것이다.

지역을 떠나 도시에서의 생활을 원하는 청년들도 있지만, 다시 돌아오고 싶어도 일자리나 주거 문제 등으로 정착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도 존재한다. 이들을 먼저 안정시킨다면 다른 청년들도 돌아오고 싶어지지 않을까. 인구정책과가 별도로 신설된 만큼 앞으로의 청년 유출을 막기 위한 로드맵을 그려나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