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용정보원 연구에 의하면 전국 기초 행정 단위중 10곳 중 4곳은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인구가 감소하여 소멸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멸위험지수는 '한 지역의 20~39세 여성인구 수를 해당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으로 이 지수가 0.5 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이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우리지역도 고 위험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소멸위험지역에는 백두대간을 축으로 인근 농어촌과 중소도시들이 대거 포함되어 있다.

인구가 정점을 지나 감소추세에 접어든 일본에서는 2015년 총무성 장관을 지낸 마쓰다 히로야를 주축으로 한 전문가들이 심각한 현실에 대한 경고를 담은 보고서를 발간하여 커다란 파문을 몰고 왔었다. 대안으로 일본에서는 광범위한 지자체간 합병 및 도시기능과 교통과 생활 인프라를 정비하여 축소재편성하는'콤팩트시티(축소도시)' 전략이 추진되고 있다.

인구정점을 아직 지나지 않은 우리나라 에서도 일본과 같은 징후가 급격히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이 소멸할 것인가? 언제쯤 어디가 소멸할 것인가? 걱정보다는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분야별로 어떻게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인가가 중요한 과제이다.

실증적 연구를 보면 실제 인구가 감소한다고 해서 지역이 소멸되지는 않고 누군가는 그 땅에서 삶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단지 막대한 행정비용이 소요되고 공공서비스의 축소와 생활 인프라 와해로 인해 삶의 질이 급격히 저하된다.

인구가 갑자기 증가하는 마법적 해법은 없다. 그리고 지역은 생각처럼 빨리 없어 지지도 않는다. 지역 특유의 색깔과 향기 그리고 생명력을 유지해 인구감소 추세를 최대한 늦추면서 세대간 지역계승 기반을 구축하여 지역 재생산력을 높여나가는 노력이 중요하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