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기왕성한 젊음은 싱그럽고 힘찬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농어촌의 나이는 계속 늙어가고 있다. 통계청의 2017년 농림어업조사 결과를 보면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인구는 줄어들고 고령화는 심화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1일 기준으로 우리나라 농가는 104만2000가구로 전년도에 비해 2.5%가 감소했다. 어가는 5만3000가구로 0.8%, 임가는 8만4000가구로 3.4%가 감소했다.

분야별 인구 역시 감소해 농가인구는 242만2000명으로 3%, 어가인구는 12만2000명으로 3.1%, 임가인구는 19만6000명으로 4.3%가 감소했다.

인구감소와 함께 고령인구의 비율은 증가하고 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농가 42.5%, 어가 35.2%, 임가 40.4%로 전년대비 각각 2.2%p, 2.6%p, 3.1%p가 증가했다.

농업은 농가 경영주의 나이가 70세 이상이 43만6000가구로 전체 농가의 41.9%를 차지하고 있다. 전년도에 비해 3.7%가 증가했다. 이에 비해 40세 미만은 1만1000가구로 1.1%뿐이다. 농축산물 판매금액이 1000만원 미만인 농가가 전체 농가의 66.8%에 달해 소득마저 많지 않은 상황이다.

농어촌의 고령화는 어제오늘일이 아니다. 고령화와 함께 농어촌의 인구감소는 가속화되고 우리 생활의 기반인 농업의 비중은 점차 낮아지고 있다. 정부에서 청년농업인을 늘리기 위한 각종 지원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젊은층의 농업 유입은 극히 일부분이다. 고령화는 농어촌의 일손부족이 부수적인 문제로 떠오른다. 고령의 작업자들이 많기 때문에 효율이 떨어지고 이는 생산량 감소로도 이어질 수 있다.

지난해부터 전국 곳곳에 농촌인력중개센터가 들어서고 있다. 해남에도 지난해에는 황산농협, 올해는 화원농협에서 농촌인력중개센터 운영을 시작했다. 농촌인력중개센터가 들어섰다고 인력수급이 해결된 것은 아니다. 농촌인력중개센터에서는 구직자의 수가 부족해 자체적으로 영농작업반을 운영하고 있지만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한 것이 농어촌 지역의 현실이다.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농업분야의 청년농업인 정착지원, 스마트팜 확대 등은 점차 심화되고 있는 농어촌 인구감소와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인다. 청년들이 농어촌에서 안정적인 영농활동을 할 수 있고 정보통신기술이 가져오는 노동력 감소 효과는 좋지만 이에 앞서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 있다.

농산물의 가격 안정과 최저가격에 대한 보장으로 농업의 소득안정이 이뤄지면 농업에 대한 인식변화와 함께 젊은층들이 직업으로서 농업을 택하는 비중이 높아질 것이라 생각된다.

출산율 감소와 이농현상 등으로 당분간 농어촌의 고령화와 인구감소는 지속될 것이다. 이같은 현실을 슬기롭게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