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대 전국동시지방선거가 40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각 정당의 공천이 마무리되고 있다. 무소속으로 출마코자 하는 후보들의 윤곽도 드러나고 있다. 선거구에 따라 후보가 나오지 못한 면지역도 있고 2~3명의 후보가 나온 면지역도 있다.

지역내에서는 벌써부터 당선가능성을 점쳐보고 있다. 이 판단 기준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출신 지역이 거론된다. 후보가 나오지 못한 지역에서는 아쉬움(?)과 함께 새롭게 후보를 물색하는 움직임도 있다.

후보가 어떤 정책을 제시하는지, 제시한 정책을 지킬 수 있는 후보인지 지역내 검증도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벌써부터 출신 지역에 따라 유·불리가 갈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선거에서는 반드시 지역 출신 군의원이 나와야 된다며 서로 당이 다른 후보 간의 단일화를 요구하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의 도의원, 군의원 선거에서 출신 지역의 표 쏠림 현상을 볼 수 있다. 정당 보다 오히려 지역출신에게 표가 집중되는 것이다. 한 지역에서 2~3명의 후보가 나와 지역의 표가 갈라지면 당선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지난 제6대 지방선거 개표결과를 보면 군의원 나선거구에서는 무소속으로 출마한 서해근·정명승 씨가 민주당(당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들을 제치고 당선됐다. 당시 황산 출신인 서해근 후보는 득표한 1981표 중 69.2%인 1371표가 황산에서 나왔다. 문내 출신 정명승 후보는 득표한 1839표 중 79.9%인 1471표를 문내에서 얻었다. 나선거구는 황산면·문내면·화원면으로 출신 지역에서 얻은 표가 나머지 두지역에서 얻은 표의 배를 넘는다.

당시 지역구 현역의원으로 재선에 도전했던 고기준 후보는 화원에서 김승원 후보가 700여표를 가져가 아쉽게 당선되지 못했다고 분석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당선자들은 대부분 자신의 출신지역에서 상대후보들보다 더 많은 표를 가져가야 당선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렇다보니 출신 지역에서 상대 후보를 큰 폭으로 이기지 못하면 당선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출신지역 후보에게 투표하는 것이 반드시 잘못됐다고 주장할 수는 없지만 그들이 가진 생각과 정책도 판단기준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최근 민주당 경선결과 여성 후보에게 '가'를 준 것에 대한 논란도 일고 있다. 인물과 소신, 정책이 아닌 지역에 떠도는 이야기처럼 여성이기 때문이 가를 준 것이라면 민주당에 대한 실망감이 커질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는 정당정치로 이뤄지는 만큼 각 정당은 공천을 완료한 후 왜 이 후보를 지역에 공천했는지 그 이유를 명확히 밝힐 필요가 있다. 언제까지 당만 보고 투표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생판 모르는 사람을 정책만 보고 선택하기 쉽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혈연·지연·학연과 같은 비중으로 후보의 정책을 살펴봤으면 한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