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외환위기는 우리사회 뿐만 아니라 우리 농업 농촌에도 엄청난 변화를 몰고 왔다. IMF의 요구에 의한 신자유주의적 경제정책은 농업구조조정을 강요했다. 그 과정에 적응하지 못한 농민들의 삶은 더욱 어려워졌다. 농촌지역에서 농민들 간 양극화가 심화 되어졌다. 경지규모 1㏊ 내외의 중농층이 일부는 대농으로 이동해 규모화가 이루어지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농민들은 영세농으로 전락해 도시 중산층이 해체되듯 중농층이구조가 허약해지는 구조조정의 부작용이 심각했다.

그럼에도 외환위기 당시 농촌은 위기 방파제로서 역할을 충실히 해냈다. 도시의 구조조정이나 실직으로 인해 비농업 부문에서 농업·농촌으로 유입된 귀농자들 에게 '어머니'와 '고향'의 모성애와 따뜻한 정으로 보듬어 재활의욕을 고취시키고 먹거리 와 일거리는 물론 삶의 터전을 제공했다.

농업·농촌 활성화와 농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첫째, 지난 20년간 농산물가격의 하락과 농업경영비 증가는 필연적으로 농가부채증가를 불러 왔다. 농촌의 심화된 양극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농가보속 보전과 사회복지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둘째, 외환위기에서 증명된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과 다원적 기능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우리와 같이 외환위기 상황에 있었던 인도네시아 동남아국가에서는 식량부족으로 사회폭동이 발생했던 점을 보면 당시 안정된 농업생산이 사회적 동요를 막아냈다는 점에서 '식량안보' 중요성은 누차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위기의 방파제인 농촌이 고령화와 농업인구 감소로 큰 어려움에 처해있다. 농촌 활성화를 위해서 농업의 가치와 농민의 생존권을 보장하기 위한 국가적 책임과 노력을 개정헌법에 명시하고 이를 국가정책에 우선 반영하고 실천하려는 노력이 절실하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