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발생한 경주 지진으로 해남군민을 비롯해 전 국민이 지진 공포에 떨었다. 지난해 일본에서 발생한 규모 7.0 지진의 진동을 해남에서 느끼기도 했지만, 어디까지나 옆나라 일본에서 발생한 지진이었기에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여기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경주 지진은 달랐다. 우리나라 내부에서 각각 규모 5.1, 5.8 지진이 발생한데다 전국 곳곳에서 진동을 느꼈다는 여론이 쇄도했다. 해남에서도 지진으로 인한 흔들림을 느꼈다며 불안해했고, 본사에 전화해 지진에 대해 말하고 싶다는 제보도 있었다. 수십 차례 이어지는 여진은 진앙지가 월성원전과 고리원자력본부에 가까워 원전사고에 대한 불안감까지 느끼게 만들었다. 더 이상 지진이 남의 일만은 아니라는 것을 깊이 절감하게 했다.

하지만 지진에 대한 정보와 대처는 아직까지도 '남의 일'만큼이나 멀다. 지진이 발생했을 때 국민안전처의 알림문자 발송이 15분가량 늦었고, 혹자는 알림조차 받지 못했다. 해남군도 자체적으로 재난문자를 발송하고 있지만, 이는 안전건설과에 방문해 동의서를 작성하고 제출해야만 문자를 받을 수 있다. SNS나 인터넷, 언론속보를 의지할 수밖에 없어 예상치 못한 강진이 왔을 때 신속한 대처가 어려울 수 있다.

2차 지진이 발생했을 당시 필자는 회사에 있었다. 마무리할 일이 있어 컴퓨터 앞에 앉아 있었는데 건물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곧바로 광주지방기상청에 문의 전화를 넣었더니 비상이라는 답변을 들었다. 핸드폰은 갑자기 문자메시지와 메신저앱 카카오톡이 먹통으로 변해 사내 컴퓨터연락망을 통해야만 정보공유가 가능했다. 홈페이지에 실시간 뉴스를 게시하고 인터넷을 살펴보니 비슷한 사례가 쏟아져 나왔다. 지진 대처 훈련·교육이 없는 우리나라에서 지진 알림을 받지 못하고, SNS조차 안 될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하냐는 한탄의 목소리였다.

해남은 지진안전지대라고 믿어왔던 탓에 건축물이 지진에 얼마나 안전한지, 내진설계율은 어느정도인지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자료가 없다. 현 상황으로는 내진설계 기준에 따라 이후 지어진 건축물은 내진설계가 되어 있을 것이라고 추정하는 정도다. 특히 학교나 기관 청사와 달리 주택 등 민간건축물은 내진설계나 보강을 강제할 수 없다. 결국 비용 문제로 내진설계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무방비 상태에 있고, 노후됐거나 규정 미달·부실시공 등의 건축물은 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 속에서 '안전'에 대한 목소리는 높아져가지만, 몇 달 뒤에는 사그라질 목소리가 아니냐는 자조 섞인 한숨도 들린다. 하지만 잊어서는 안 된다. '안전'은 오지 않은 재난·사고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려는 예방이자 노력이라는 사실을.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