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호순(순천향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세상살이가 힘들어지면 사회적으로 나타나는 일반적 현상이 있다. 우선 가족 의존도가 높아진다. 개인의 안전과 행복을 유지해주는 수단으로서 국가나 지역의 기능이 약화되기 때문이다. 최근 영화 '국제시장'이 천만관객을 돌파한 것은 어려운 시기 가족에 대한 향수와 정서를 자극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상살이가 힘들어지면 가족을 유지하는 것은 점점 힘들어진다. 영화 '국제시장'의 주인공처럼 가족을 위해 희생하며 성공적으로 지킨 사람들도 있지만, 가족이 해체되고 노숙자로 혹은 독거노인으로 쓸쓸하게 인생의 종말을 맞이하는 사람들도 드물지 않다. 최근의 흉악범죄 중에는 경제적 고통으로 인한 가족 간의 분쟁에 기인하는 것들이 적지 않다. 결혼과 출산의 비율이 해마다 낮아지는 것은 가족으로서 살아가기가 그만큼 힘들기 때문이다.

세상살이가 힘들어지면 사회적 희생양이 등장한다.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나의 잘못을 남의 탓으로 돌려 그 책임을 회피하려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느 나라고 경제가 어려워지면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외국자본에 대한 비판적 정서가 팽배해진다.

세상살이가 힘들어지면서 나타나는 또 다른 현상은 복고, 즉 과거에 대한 향수에 몰입하는 현상이다. 영화 '국제시장'이 40~50대 이상의 장년층의 복고감정을 자극했다면, 30대 이하 청년층은 문화방송의 소위 '토토가(토요일 토요일은 가수다)'에 열광했다. 토토가는 90년대 인기가수들의 공연을 재현한 프로그램이었다. 미래가 보이지 않는 요즘 젊은 세대들은 잠시나마 10~20년 전으로 되돌아가 지금의 팍팍한 현실을 잊고 즐길 수 있었다.

꿈과 희망을 가질 수 없는 젊은이들은 미디어를 통해 대리만족하는 인생을 살아가고 있다. 결혼도 할 수 없는 처지인 사람들은 애정드라마를 보며, 결혼을 했지만 출산과 육아를 할 여유가 없는 사람들은 '슈퍼맨이 돌아왔다'와 같은 육아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통해, 취업의 기회를 갖지 못한 사람들은 '미생'드라마를 보며, 자신의 처지를 TV프로그램 주인공에 대입해 대리만족을 느낀다.

우리의 암울한 현실이 '국제시장', '토토가', '슈퍼맨', '미생'과 같은 미디어 프로그램을 소위 대박상품으로 만든 것이다.

저작권자 © 해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